[이투데이-산교타임즈 특약]27-① MS '엑스박스 원' 미디어 패권 노린다

입력 2013-06-26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콘솔게임 공개…게임하며 스마트폰·PC 사용

▲필 해리슨 마이크로소프트(MS) 기업지식포털 부문 부사장이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엑스박스 원’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지난 5월22일(현지시간) 새 콘솔게임기 ‘엑스박스 원(XBOX One)’을 공개하면서 ‘홈 엔터테인먼트 미디어’로서의 도약을 선언했다. ‘엑스박스360’이 출시된 지 7년 만에 내놓은 엑스박스 원은 게임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남녀노소 전 세대를 아우르겠다는 MS의 야망이다.

현재 미디어 소비의 중심 디바이스가 된 스마트폰에 비해 게임기의 라이프 사이클은 비교적 길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TV를 중심으로 한 홈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의 특성 중 하나이기도 하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매우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7년 후의 미래를 내다보고 거기서부터 역산해 제품 전략을 설계해야 하는 게임 하드웨어 비즈니스는 가장 치열한 시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엑스박스 원은 세계적인 게임박람회 E3에서 게임 기능을 넘어 ‘홈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기능과 콘셉트’라는 점을 내세웠다. 엑스박스 원의 스펙은 모두 알다시피 음성인식과 동작인식이 강화됐고 TV 기능까지 추가됐다. 게임을 하면서도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엑스박스 원을 통해 MS의 미디어 전략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디어 소비의 중심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이다. 2007년 아이폰이 등장한 지 불과 6년여가 지났지만 플랫폼 간 경쟁은 이미 승부가 결정된 상태다.

2012년 시점에서 iOS와 안드로이드의 양 OS가 전세계 점유율의 82%를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윈도폰과 파이어폭스, 우분투, 타이젠 등 제3의 세력도 나오기 시작했다. 시장조사업체인 IHS는 5년 후인 2017년 시점에서도 iOS와 안드로이드의 지배가 계속돼 점유율은 90%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플랫폼간 경쟁의 승부가 결정됨에 따른 독점 지배상태가 정해진 것은 이용자들에게 유리하다. 콘텐츠 제공자와 개발자는 대응해야 하는 운영체제(OS)가 적어져 퍼블리싱 비용이 효율화하고 그로 인해 유저의 액세스 비용도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 같은 연결고리가 콘텐츠에 대한 확대 재생산으로 연결돼 플랫폼은 성장한다. 그 결과,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2017년까지 1조7000억엔 규모까지 성장한다고 IHS는 전망했다.

한편 홈 엔터테인먼트는 아직 디팩트 스탠더드가 되는 디바이스와 플랫폼이 없다.

각 메이커의 스마트 TV, 셋톱박스(STB),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 등이 각각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것을 지향하는 만큼 메이커간에도 사양이 난립하고 있다. 이 상태로는 간편한 미디어 소비 체험은 실현되지 않는다.

MS는 이 같은 과제를 정면 돌파해 홈 엔터테인먼트의 패권을 쥐려는 야망을 품고 있다.

인터넷 접속 디바이스 수의 경우 2012년 기준, 미국에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TV 수는 1640만대, 스탠드어론형 STB는 1200만대, 유료 TV형 STB는 870만대,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1550만대다. 이 가운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게임기는 4110만대로 추산된다.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은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게임기인 셈이다. 이 중 엑스박스는 2312만대로 56%를 차지하고 있다.

엑스박스 라이브의 ID 수는 4600만명에 달한다. 미국 최대 케이블TV 업체인 컴캐스트 가입자 수가 2200만명, 최대 위성기업인 디레크 TV가 2000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압도적인 셈이다.

영국에서는 PC 스마트폰 태블릿PC 게임기 커넥티드 TV 유료TV STB 중 VOD 시청 횟수가 가장 많은 디바이스는 PC로 조사됐다. 유료 TV STB가 뒤를 이어 그 이하인 디바이스의 6배를 기록했지만 대당 연간 시청시간으로 계산하면 1위는 유료 TV STB(32시간), 2위는 태블릿PC(17시간), 3위는 게임기(13시간) 순으로 게임기가 본연의 게임기능 이외의 ‘영상 콘텐츠의 시청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674,000
    • -0.14%
    • 이더리움
    • 5,194,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61,000
    • -1.56%
    • 리플
    • 697
    • -0.57%
    • 솔라나
    • 224,200
    • -1.67%
    • 에이다
    • 621
    • +0.32%
    • 이오스
    • 995
    • -1.58%
    • 트론
    • 164
    • +2.5%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750
    • -1.97%
    • 체인링크
    • 22,510
    • -0.62%
    • 샌드박스
    • 587
    • -2.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