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자본시장 '남미'] 아르헨티나, 신뢰 회복이 급선무

입력 2012-11-21 10: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P 지난달 B서 B-로 하향 조정

아르헨티나가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최근 보도했다.

아르헨티나는 지난 2001년 1000억 달러의 부채를 상환하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맞은 이후 해외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아르헨티나 정부가 지난 5월 자국 최대 다국적 기업 YPF를 국유화시키는 법안을 통과시킨 후 해외 시장의 신뢰는 더욱 떨어진 상황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YPF 모회사인 스페인의 랩솔이 제대로 투자하지 않아 아르헨티나의 에너지 수입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며 YPF의 지분 51%를 인수했다.

미구엘 갈루치오 YPF 최고경영자(CEO)는 국유화된 이후 미국·영국 펀드매니저를 비롯해 투자자들과 여러차례 논의를 갖고 투자 유치에 힘썼다.

아르헨티나의 셰일유와 가스 자원을 발전시키려는 목적이었다.

YPF는 그러나 미국 정부와의 갈등으로 국제 채권 시장에서의 자금 조달 계획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미국 사법당국은 10월 아르헨티나 정부가 2001년 디폴트를 선언할 때 미국 채권자들에 대한 상환 요구를 거부한 것은 불평등한 조치라는 판결을 내렸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미국의 결정이 YPF의 신뢰도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아르헨티나의 국가신용등급과 기업들의 등급을 잇따라 강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0월 아르헨티나의 신용등급을 ‘B’에서 ‘B-’로 하향 조정했다.

피치는 아르헨티나의 신용등급을 ‘B’로 유지했지만 등급전망은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쇼반 모던 제프리스 수석 남미 전략가는 “선택적인 디폴트는 해외시장에서 고립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YPF는 해외시장에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자국시장에서 회사채를 발행했지만 자금 부족에 시달릴 우려가 커지고 있다.

YPF는 유동성 공급을 위해 향후 5년간 372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지만 역내 수요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3: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283,000
    • -0.58%
    • 이더리움
    • 4,963,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55,500
    • +1.09%
    • 리플
    • 692
    • -0.57%
    • 솔라나
    • 187,800
    • +0.05%
    • 에이다
    • 550
    • +0.36%
    • 이오스
    • 819
    • +0.61%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2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50
    • +1.12%
    • 체인링크
    • 20,160
    • -0.74%
    • 샌드박스
    • 476
    • +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