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증권부 이재현 기자 "스팩 활성화 대책 절실하다"

입력 2012-08-23 11: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보통신(IT) 바이오기술(BT) 등 전도유망한 기업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본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 기업인수목적회사(이하 스팩)라고 하는 돈 덩어리가 이미 기업공개(IPO)를 거쳐 상장돼 있어서 합병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2009년 9월 금융당국이 스팩 도입을 결정할 당시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장의 발언이다. 규모가 작은 기업이 IPO를 통해 증시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운 만큼 스팩을 통해 자금난을 해결한다는 계획이 스팩 출범의 가장 큰 명분이다.

실제로 금융위의 최초 구상처럼 증시에 상장해 돈줄을 쥐고 있는 스팩이 비상장사를 합병하면 해당 기업들은 가뭄에 단비와도 같은 돈을 쥘 수 있다. 증시에서도 새로운 플레이어가 등장하는 만큼 이런저런 기대가 컸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예상은 보기 좋게 빚나갔다. 스팩이 도입된 지 2년 6개월 만에 ‘국내 스팩 1호’의 타이틀을 보유한 대우증권스팩1호가 합병상장 예비심사청구서를 24일까지 제출하지 못하면 거래 정지될 위기에 처했다.

미래에셋스팩1호, 동양밸류스팩 역시 아직까지도 합병에 대한 뚜렷한 답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청산될 가능성이 큰 상태다.

스팩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금융당국의 과도한 규제다. 스팩의 상장심사 문턱은 IPO 못지않게 높지만 상대적으로 유리한 점이 없다.

게다가 합병 과정에서 주주총회 등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IPO보다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고 있다. 한마디로 직상장보다 ‘실(失)’이 더 많은 셈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스팩에 대한 규제를 더 완화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 등의 절차가 뒤따르는 만큼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미 올해 초 스팩과 비상장법인 간 합병 때 기업가치평가 산정 기준을 완전 자율화하는 등 상당 수준의 규제 완화가 이뤄진 바 있다.

스팩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책임에 증권사 역시 자유로울 수 없다. 몇몇 선두주자가 스팩을 통해 흥행몰이에 성공하면서 뒤늦게 급조해 뛰어들었다 발목을 잡혔다는 얘기다. 인수합병 대상은 찾기도 어려운데 스팩만 마구 쏟아져 나와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지키지 못한 셈이다.

비록 ‘1세대 스팩’은 실패로 귀결될 확률이 커지면서 시장 붕괴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과 증권사들은 늦었지만 스팩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0:2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06,000
    • -1.43%
    • 이더리움
    • 4,913,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611,000
    • -4.23%
    • 리플
    • 676
    • -1.74%
    • 솔라나
    • 208,500
    • -4.01%
    • 에이다
    • 597
    • -2.93%
    • 이오스
    • 952
    • -3.45%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000
    • -3.61%
    • 체인링크
    • 21,580
    • -3.27%
    • 샌드박스
    • 556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