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금융시장 패닉에 적극 대처(종합)

입력 2011-10-04 17:13 수정 2011-10-04 18: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제윤 차관, “한국 대외건전성 양호하다”강조

그리스 부도 위기로 인한 금융시장의 패닉 상황이 발생하자 정부가 적극 진화에 나섰다.

기획재정부 신제윤 차관은 4일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 관련 주요쟁점사항’이라는 자료를 토대로 한 브리핑을 통해 “한국의 대외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으로 지난 2008년 금융위기때와 같은 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 차관은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S&P, 피치 등은 우리 나라 재정건전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면서 “대외부문ㆍ금융시장 건전성 등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크게 개선된 점이 이를 입증한다”고 말했다.

신 차관은 근거로 △외환보유액 규모는 8월말 기준 3112억 달러 △단기외채비율 6월말 기준 37.6% 수준 △예대율 100% 미만으로 안정적 △경상수지 123억 달러 흑자 △국가채무 GDP대비 30% 초반 건전성 유지 등을 꼽았다.

신 차관은 “특정국가의 위기대응 능력은 외환보유액, 단기외채비율, 예대율, 경상수지, 국가채무 등 5대 지표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면서 “모든 지표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 양호하기 때문에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신 차관은 “다만 우리 나라의 경우 무역의존도와 자본시장 개방도가 높아 대외 불안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장을 예의 주시해 적극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정한 단계별 컨틴전시 플랜을 점검하고 이를 보완해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방침도 밝혔다.

신 차관은 “그리스의 부도 위기가 답보상태에 머물르며 지속적으로 시장에 위협을 줄 경우(muddle through), 그리스의 채무를 탕감해주고 이탈리아 등 주변국에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orderly default), 어느 날 갑자기 시장에 충격을 주는 경우(disorderly default) 등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대응책을 갖고 있다”며 “정부가 시장 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가지고 대응해 나갈 것이기 때문에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신식 선수핑 기지?…공개된 푸바오 방사장 '충격'
  • 육군 훈련병 사망…완전군장 달리기시킨 중대장 신상 확산
  • 박병호, KT 떠난다 '방출 요구'…곧 웨이버 공시 요청할 듯
  • 북한 “정찰 위성 발사 실패”…일본 한때 대피령·미국 “발사 규탄”
  • 세계 6위 AI국 韓 ‘위태’...日에, 인력‧기반시설‧운영환경 뒤처져
  • 4연승으로 치고 올라온 LG, '뛰는 야구'로 SSG 김광현 맞상대 [프로야구 28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68,000
    • -1.33%
    • 이더리움
    • 5,341,000
    • -0.67%
    • 비트코인 캐시
    • 652,000
    • -3.83%
    • 리플
    • 734
    • -0.94%
    • 솔라나
    • 234,100
    • -1.06%
    • 에이다
    • 634
    • -2.01%
    • 이오스
    • 1,123
    • -3.52%
    • 트론
    • 154
    • -1.28%
    • 스텔라루멘
    • 150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200
    • -1.52%
    • 체인링크
    • 25,690
    • -0.5%
    • 샌드박스
    • 627
    • -1.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