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노후준비 자본시장 통해 준비해야”

입력 2011-09-06 17: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투협, ‘100세 시대 도래와 자본시장의 역할’국제심포지엄 개최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대비해 자본시장을 통한 노후자금 확보가 시급합니다.”

마틴 펠드스타인(Martin Feldstein) 하버드대 교수는 6일 여의도 63시티 컨벤션센터에서 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열린 ‘100세 시대 도래와 자본시장의 역할 국제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노후대비수단으로서 민간금융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자산운용에 있어서도 국공채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면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자본시장 관계자들도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황건호 금융투자협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풍요롭고 안정된 100세 시대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본시장을 통한 효율적인 자산운용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퇴직연금 활성화, 장기분산투자 문화 확산, 이에 대한 정부의 세제혜택 부여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토론에서 나선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대표는 “투자위험 관리를 위한 금융투자상품 등 고령화에 대응한 실질적 금융상품 개발, 퇴직연금 운용규제 완화 및 세제지원확대 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와 국회도 100세시대의 자본시장 역할을 강조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축사에서 “노후준비자금 마련을 위한 다양한 금융상품이 개발되고 노후생활을 도와주는 금융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자산운용산업 체계를 선진화하는 등 금융시장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금융투자협회는 이번 국제 심포지엄을 계기로 100세 시대를 대비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의 역할이 제고될 수 있도록 장기분산투자문화 확산,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노후대비 금융투자상품 개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행사는 마틴 펠드스타인(Martin Feldstein) 하버드대 교수를 비롯해 에드워드 화이트하우스(Edward Whitehouse) OECD 사회정책부 연금정책 본부장, 로스 존스(Ross Jones) 호주건전성감독청 부청장, 조앤 세가스(Joanne Segars) 영국연기금협회장, 신성환 홍익대학교 교수등이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 비밀번호가 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습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서 인질 4명 구출”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00,000
    • +0.13%
    • 이더리움
    • 5,192,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666,000
    • -2.2%
    • 리플
    • 697
    • -0.99%
    • 솔라나
    • 223,000
    • -2.75%
    • 에이다
    • 614
    • -3.31%
    • 이오스
    • 987
    • -3.71%
    • 트론
    • 163
    • +2.52%
    • 스텔라루멘
    • 138
    • -2.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300
    • -3.88%
    • 체인링크
    • 22,310
    • -3.34%
    • 샌드박스
    • 577
    • -6.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