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부진·그리스 기대에 혼조…다우 59.67P↓

입력 2011-06-24 06:14 수정 2011-06-24 06: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ㆍ주택지표 악화…EUㆍIMF, 그리스 긴축안 승인

뉴욕증시는 23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미국의 고용과 주택지표 부진으로 급락했으나 그리스 정부의 재정긴축안을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승인했다는 소식에 그리스 사태 완화 기대로 장 막판 낙폭을 크게 줄였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59.67포인트(0.49%) 하락한 1만2050.00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7.56포인트(0.66%) 오른 2686.75를 기록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283.50으로 3.64포인트(0.28%) 떨어졌다.

전일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추가 경기부양책을 언급하지 않은 데 따른 실망감에다 미국 경제지표 악화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로 증시는 장중 다우지수가 200포인트 가까이 빠지는 등 급락세를 보였다.

미국 노동부가 집계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9000건 증가한 42만9000건으로 전문가 예상치 41만5000건을 웃돌았다.

최근의 경제지표 부진과 그리스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로 기업들이 고용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5월 신규주택 매매가 전월 대비 2.1% 감소한 연율 31만9000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신규주택 매매는 3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랜디 베이트먼 헌팅턴자산관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연준의 2차 양적완화가 끝나가는데 목표했던 고용시장과 경기회복세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면서 실망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장 막판 그리스 정부의 긴축안이 EU와 IMF의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증시는 낙폭을 크게 줄였고 나스닥 지수는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리스 의회는 다음주 정부 긴축안 표결에 들어가며 의회에서 긴축안이 통과돼야 EU와 IMF로부터 구제금융 5차분을 받을 수 있다.

업종별로는 국제유가가 4개월래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관련업종이 약세를 나타냈다.

엑슨모빌이 1.73%, 쉐브론이 1.69% 각각 하락했다.

제약업체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와 화이자는 공동 개발한 심장질환 치료 신약이 기존약보다 효과가 있다는 소식에 큰 폭으로 뛰었다.

브리스톨이 5.73%, 화이자가 1.82% 각각 급등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91,000
    • -0.49%
    • 이더리움
    • 5,255,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0.76%
    • 리플
    • 730
    • -0.27%
    • 솔라나
    • 236,000
    • -0.63%
    • 에이다
    • 630
    • -1.56%
    • 이오스
    • 1,132
    • +0.27%
    • 트론
    • 154
    • -0.65%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200
    • -0.17%
    • 체인링크
    • 25,840
    • +0.98%
    • 샌드박스
    • 622
    • -1.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