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유 美국채 1조달러 돌파

입력 2011-03-07 16: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외투자자 美국채 비중 90% 달해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가 1조달러(약 1116조원)를 돌파하는 등 해외투자자에게 미국 국채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지난주 국채 보유 현황에서 지난해 12월 말 기준 세계 최대 미국 국채 보유국인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규모가 1조1296억달러를 기록했다고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장기국채 보유규모가 전년에 비해 39% 증가한 1조1145억달러를 나타냈고 단기 국채 보유는 154억달러로 78% 줄었다.

세계 2대 미국 국채보유국인 일본도 같은 기간 8823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중국 등 해외투자자의 미국 국채 보유비중은 90%에 달해 지난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 붕괴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해외투자자의 미국 국채 보유비중은 지난 2009년 10월 금융위기 여파로 83%까지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미국 국채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억제될 것이라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입장과 투자심리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경우 채권금리는 상승하게 된다.

리비아 등 중동 지역 정정 불안에 국제유가가 수급 차질 우려로 급등하고 글로벌 식료품 가격도 오름세를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다.

후코쿠 뮤추얼생명보험의 오쿠토모 사토시 제너럴 매니저는 “우리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장기 국채 등 외환 표시 채권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높이고 있다”면서 “미국 국채는 유동성이 풍부해 유일한 투자처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은 8.9%로 22개월 만에 처음으로 9% 밑으로 내려가 경제의 걸림돌이었던 고용시장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미국 국채 장단기 스프레드(금리차)가 축소되는 것도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 국채 2년물과 10년물 금리 스프레드는 현재 2.81%포인트로 1월말의 2.93%포인트에 비해 하락했다.

독일은 1.5%포인트, 일본은 1.06%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종합] 나스닥, 엔비디아 질주에 사상 첫 1만7000선 돌파…다우 0.55%↓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대남전단 식별' 재난문자 발송…한밤중 대피 문의 속출
  • ‘사람약’ 히트 브랜드 반려동물약으로…‘댕루사·댕사돌’ 눈길
  • '기후동행카드' 150만장 팔렸는데..."가격 산정 근거 마련하라"
  • '8주' 만에 돌아온 KIA 이의리, 선두권 수성에 열쇠 될까 [프로야구 29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15: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68,000
    • +0.31%
    • 이더리움
    • 5,336,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652,000
    • +0.08%
    • 리플
    • 732
    • +0.41%
    • 솔라나
    • 237,100
    • +2.51%
    • 에이다
    • 638
    • +0.47%
    • 이오스
    • 1,132
    • +0.98%
    • 트론
    • 153
    • -0.65%
    • 스텔라루멘
    • 151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00
    • +0.46%
    • 체인링크
    • 25,270
    • -0.28%
    • 샌드박스
    • 631
    • +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