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③ ‘힘의 외교’서 ‘공공외교’로 선회하나

입력 2011-03-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양회(兩會) 쟁점은'

(편집자주: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와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 등 양회의 올해 화두는 균형발전이 될 전망이다.

고성장과 함께 대두되는 물가 우려와 빈부격차의 확대를 막을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최근 중동을 휩쓸고 있는 민주화 열기로 중국 당국이 바짝 긴장하면서 양회 결과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글 싣는 순서>

① 中경제, 성장 위주서 균형발전으로 전환한다

② 재스민 불똥 튈까...긴장 고조

③ ‘힘의 외교’서 ‘공공외교’로 선회하나

④ 中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는?

중국이 양회(兩會)에서 외교 기조를 지난해 '힘의 외교'에서 평화적 발전을 추구하는 '공공외교(公共外交)'로 선회할 지 주목된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장관급)은 지난달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인 ‘치우스(求是)’에 기고한 글에서 “국제사회가 중국의 경제와 정치적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에 대해 우려의 시각을 갖고 있다”면서 “공공외교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외교 기조가 ‘힘의 외교’에서 평화적 발전을 중시하는 ‘공공외교’로 전환될 지 주목된다. 지난해 중국과 일본은 센카쿠열도를 놓고 첨예한 외교 갈등을 겪었다. (블룸버그)

공공외교는 군사력과 경제력을 기반으로 하는 힘의 외교가 아닌 문화와 예술 등 소프트파워의 확대와 해외 원조 등을 통해 평화적 발전을 추구하는 외교 노선을 뜻한다.

중국은 지난해 대국으로 일어선다는 ‘대국굴기’의 기조 하에 외교적으로 강경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서 지난해 9월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이 중국 어선을 나포하자 첨단 기기의 주요 원료인 희토류 수출을 중단하는 등 강경책으로 일본의 항복을 받아냈다.

지난해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의 도발행위에 대해서 국제사회의 빗발치는 여론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북한을 옹호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중국 내부에서는 최근 지난해 강경 외교 노선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전통적 외교 기조인 ‘도광양회(韜光養晦, 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힘을 기른다)’와 ‘유소작위(有所作爲, 적극적으로 해야 할 일은 한다)’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로 이 둘을 적절히 조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리췬잉 중국정법대 국제정치과 주임교수는 “중국은 최근 일본과 한국, 동남아 국가들과 관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 진입했고 인도와도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서방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면서 “이에 이웃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커졌다”고 반성했다.

인민일보와 중국신문 등 중국 관영언론들은 최고지도자들은 이번 양회에서 공공외교를 새 역점사항으로 천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81,000
    • +2.33%
    • 이더리움
    • 5,256,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668,000
    • +2.06%
    • 리플
    • 729
    • +0.41%
    • 솔라나
    • 239,500
    • +3.99%
    • 에이다
    • 637
    • +0.31%
    • 이오스
    • 1,124
    • +1.81%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600
    • +2.88%
    • 체인링크
    • 24,740
    • +0.73%
    • 샌드박스
    • 644
    • +2.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