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친화적 일자리 2012년까지 7만개 확대

입력 2010-10-14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청년고용 1차 대책 발표

정부가 청년친화적 일자리를 2012년까지 7만개 이상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1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제73차 국민경제대책회의 겸 제10차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열고 ‘청년 내 일 만들기’ 제1차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신기술 개발과 부가가치 창출이 유망한 분야를 중심으로 증원되는 인력을 신규채용을 통해 충원하고 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정부는 소방, 치안, 특허심사 등 인력을 늘리고 빈발하는 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재해·방역 모니터링 전담요원을 배치하기로 했다.

청년인턴 사업은 구조조정해 안정된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를 강화하고 실효성이 낮은 행정인턴은 폐지하되 중소기업 청년취업인턴은 중견기업까지 확대, 창직·창업 인턴도 크게 늘려 2012년까지 3만7000명 이상을 정식 취업시킬 계획이다.

1인당 최대 연 720만원의 신성장동력분야 창업기업 신규채용 지원금이 신설되며 일자리창출 기업에 대한 특례보증규모 확대, 청년 사회적기업 펀드, 중소·벤처기업 일자리창출 펀드와 글로벌 영화제작펀드 조성 등 금융지원도 강화된다.

민간부문의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가 청년인재를 함께 발굴하고 육성하는 파트너십 확립을 지원한다.

전경련 등 주관으로 ‘대기업-협력업체 공동 채용박람회’를 11월 최초로 열고 이러한 동반성장 고용전략을 직업능력개발과 기술연구개발 등 분야까지 확산시키기로 했다.

대졸자와 퇴직자의 변화 추이에 미리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세대간 일자리 나누기 모델’의 자율적인 확산을 추진하고 재직근로자 직업훈련 강화, 실근로시간단축, 일ㆍ가정 양립형 유연근로 등을 통해 신규고용 여력을 넓히고 컨설팅과 소요비용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대학 구조조정을 통해 고학력자 과잉공급을 완화하고 취업에 대한 책임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인력수요자인 산업계 관점에서 업종별협회 또는 인적자원협의체가 대학평가를 주도하고 졸업생의 고용유지율을 점검하는 등 통계도 내실화하기로 했다.

특성화고에 대해서도 취업률과 특성화 정도 등에 따라 시도별·학교별 특별교부금을 차등 배분하기로 했다.

비진학 고졸자는 취업일굼 프로그램을 통해 1~2학년 과정에서는 적성을 찾은 후 3학년 과정에서 인턴 또는 훈련 등을 거쳐 취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고교 졸업 후 일정기간 계속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고졸취업자의 입영연기와 산업기능요원제도 연장 등의 방안과 함께 산업현장의 근로경험을 학점, 자격과 연계하는 제도도 검토하기로 했다.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의 재도전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진로지도와 특성화된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결합한 취업사관학교를 시범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요즘 중소기업들이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면서 "중소기업도 일할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집단 휴진 거부한 아동병원, 의협 회장 맹비난 "'폐렴끼' 만든 사람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79,000
    • -0.09%
    • 이더리움
    • 5,033,000
    • +1.62%
    • 비트코인 캐시
    • 608,500
    • +0.75%
    • 리플
    • 696
    • +2.96%
    • 솔라나
    • 204,100
    • -0.24%
    • 에이다
    • 583
    • -0.34%
    • 이오스
    • 929
    • -0.11%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000
    • -0.28%
    • 체인링크
    • 20,800
    • -1.19%
    • 샌드박스
    • 540
    • +0.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