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약가 인하 리스크 대응 '지지부진'

입력 2009-11-06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신약 개발 허가 전무...해외수출 비중도 LG생과 빼면 한자릿수

제약업계가 매년 정부의 약가 인하를 중심으로 한 약가정책으로 위기에 처하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이에 따른 돌파구로 수출과 신약개발이 대두되고 있지만 국내 제약사들의 대처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미래에셋증권의 '2010 제약ㆍ바이오 산업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77년 약가 기준이 제정된 후 네 번의 보험약가 제도 개편을 겪었다.1999년 현행 실거래가 상환제를 도입하기 전에는 고시가 상환제도로 운영됐다.

이 제도는 정부가 의약품 상환가격을 고시해 의료기관이 실제 의약품 구입가격과 상관없이 고시가로 상환을 받으면서 약가 마진이 생기는 부작용이 있었다.

약가 마진을 없애기 위한 도입된 실거래사 상환제는 의료기관이 실제 구입한 가격으로 국민건강보험이 의약품 대금을 상환하게 하는 것으로 이 또한 실거래가가 의약품 상한가격에 거의 근접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제도 취지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또 정부는 약제비 적정화 관리를 위해 ▲의약품 선별등재 시스템 ▲기등재의약품 목록 정비 ▲약가재평가 및 사용량-약가 연동제 등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으며 ▲보험의약품 실거래사 조사를 통해 의약품 가격을 조정하고 있다.

내년에도 이 같은 약가 인하 이슈는 계속될 것으로 보여 국내 제약사들의 해외 수출 확대와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가 가장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렇지만 의약품 해외수출과 신약개발 모두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이다. 제약원료 수출이 2005년 4억4800달러에서 2007년 5억2900달러로 완제의약품이 3억4500달러에서 4억8900달러로 소폭 증가하고 있지만 거의 제자리 걸음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제약사들의 수출 비중을 보면 LG생명과학만이 20%가 넘는 42.5%의 수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한양행이 14.5%로 2위를 기록했지만 LG생명과학과의 격차가 크다.

이어 한미약품, 녹십자, 동아제약 등 국내에서는 내로라하는 상위 제약사들이 뒤를 잇고 있지만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미미한 수준이다.

신약의 경우는 더욱 심각해 국내 제약사의 수는 200개가 넘지만 매년 달랑 한 제품 정도의 신약이 출시되고 있다. 2005년 동아제약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 2006년 부광약품 B형간염치료제 '레보비르', 2007년 SK케미칼 발기부전치료제 '엠빅스', 지난해 일양약품 위궤양치료제 '놀텍'이 허가를 받았다.

특히 올 한해 동안 국내 신약개발 허가 건수는 거의 전무한 수준이다. 주요 제약사들의 신약 파이프라인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주요 개발 후보 물질들이 아직 임상2구간에 상당히 많이 포진돼 있어 신약개발 성과 가시화에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2010년 임상 진행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은 동아제약의 슈퍼항생제(DA-7218), 종근당의 당뇨치료제, LG생명과학의 인성장 호르몬과 caspase억제제 등이다.

업계 관계자는 "거의 매년 정부의 약가인하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음에도 보수적인 기업마인드와 오너체제로 인한 M&A의 어려움 등으로 획기적인 변화가 어렵고 판관비 비중이 높아 수출이나 R&D 비용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이중 삼중고에 처해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27,000
    • +0.02%
    • 이더리움
    • 5,201,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54%
    • 리플
    • 721
    • -1.1%
    • 솔라나
    • 230,900
    • -2.78%
    • 에이다
    • 619
    • -2.98%
    • 이오스
    • 1,107
    • -1.86%
    • 트론
    • 154
    • +0%
    • 스텔라루멘
    • 148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00
    • -0.69%
    • 체인링크
    • 25,420
    • +0.24%
    • 샌드박스
    • 607
    • -3.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