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금융 외부컨설팅 통해 리스크 심사 강화해야

입력 2009-10-21 18: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녹색금융협의회, 저탄소 녹색성장 안건 논의

녹색금융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녹색경험이 풍부한 해외 금융회사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외부컨설팅업체 등을 통해 사업성과 리스크 등을 심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녹색금융협의회(Green Finance Council)는 21일 제2차 회의를 열어 녹색금융지원 업무처리 가이드라인 등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금융산업관련 안건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유럽 은행들은 녹색금융 지원을 위한 최고경영자(CEO) 중심의 별도 의사결정기구를 운영하면서 환경위험도 리스크 요인으로 판단하고 리스크관리시스템에 포함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금융회사들이 녹색금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려면 녹색금융 경험이 풍부한 해외 금융회사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외부 환경관련 전문 컨설팅업체를 통해 녹색 프로젝트의 사업성과 리스크 등을 심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태희 삼일PwC컨설팅 박사는 "은행들은 여신심사 과정에서 기존에 고려하지 않던 기업의 환경위험을 평가해 결과에 따라 자금지원 규모를 차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의 환경위험이란 배출시설이나 청정기술 보유 여부, 온실가스 저감활동 상태, 생태계 보존 능력,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정도 등을 따져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을 말한다.

강경훈 국민은행 녹색금융경영추진단 사무국장은 "정부가 선정한 27대 중점녹색기술을 조기에 육성하려면 성장성과 기술단계에 따라 정책금융과 민간자본 투자를 적절하게 융합해야 한다"며 "자금의 용도에 따른 맞춤형 금융솔루션 제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2차 전지 등의 상용화 초기 단계에 진입한 산업에 대해서는 은행여신 등의 민간 투자가 필요하지만 기술개발 초기단계에 있어 상용화까지 장기간이 필요한 기술산업에 대해서는 재정지원과 신용보증 재원 확대, 벤처캐피털 투자, 자본시장을 활용한 자금조달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탄소배출권 시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저감목표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총량제한(Cap)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편, 녹색금융협의회는 은행과 증권, 보험, 카드 등 전 금융권 전문가 50여명으로 구성된 녹색성장관련 협의채널로 녹색금융관련 핵심의제를 발굴해 논의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집단 휴진 거부한 아동병원, 의협 회장 맹비난 "'폐렴끼' 만든 사람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78,000
    • -0.09%
    • 이더리움
    • 5,037,000
    • +1.7%
    • 비트코인 캐시
    • 608,000
    • +0.66%
    • 리플
    • 696
    • +2.96%
    • 솔라나
    • 204,300
    • -0.2%
    • 에이다
    • 583
    • -0.34%
    • 이오스
    • 929
    • -0.11%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000
    • -0.28%
    • 체인링크
    • 20,800
    • -1.23%
    • 샌드박스
    • 540
    • +0.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