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장관, 인도와의 협상에 “양측 근접해있다”
미 대통령 취임 100일 증시 성적은 50년만 최악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취임 100일째인 29일(현지시간),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에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300.03포인트(0.75%) 오른 4만527.62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08포인트(0.58%) 상승한 5560.8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95.18포인트(0.55%) 뛴 1만7461.32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상대 국가를 언급하지 않은 채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히면서 장 초반 하락하던 주요 지수가 반등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오후 CNBC방송에서 “한 국가와 거래를 완료했다”면서 “상대국 총리와 의회 승인을 기다려야 하지만, 곧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스콘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인도와의 협상에 대해 “양측이 매우 근접했다”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18개의 주요 무역 관계에 대한 (합의를) 승인을 할 때까지는 어떤 것도 완료되지 않는다”며 말을 아꼈다.
관련 뉴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자동차 부품 관세 일부를 2년간 완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시장의 숨통을 트이게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스 메이필드 베어드 투자 전략가는 CNBC에 “무역 측면에서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기 전까지 다른 문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번 주에도 계속 기업 실적 발표가 예정됐는데, 이에 대해서도 메이필드 전략가는 “실적이 시장의 상승 또는 하락에 영향을 미칠지는 모르겠다”면서 “정책으로 매도와 잠재적 경기 침체를 겪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MS) 실적이 30일, 애플과 아마존 실적이 내달 1일 발표될 예정이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이날까지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간 뉴욕증시는 관세 영향으로 S&P500지수 기준으로 7.3% 하락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는 미국 대통령 취임 100일간 뉴욕증시 성적 중 1973년 리처드 닉슨 2기 행정부(-9.7%) 이후 50년 만에 최악의 성적이다.
이날 발표된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의 소비자신뢰지수는 5개월째 하락했다. 소비자 기대지수는 급락해 2011년 10월 이후 13년여 만에 최저수준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