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 가격 인상 이어 ‘수입 수수료 145%’ 맞불

입력 2025-04-29 16: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액소포 면세제도 중단 앞두고 가격 인상 조치
경쟁업체 쉬인도 25일 인상 단행

▲스마트폰 화면에 테무(왼쪽)와 쉬인 앱 아이콘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스마트폰 화면에 테무(왼쪽)와 쉬인 앱 아이콘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전자상거래 공룡 테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에 대응해 145%의 ‘수입 수수료(import charges)’를 부과했다.

28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테무는 25일 가격 인상에 이어 주말부터 수입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예컨대 18.47달러(약 2만6528원)짜리 여름 원피스에는 수입 수수료 26.21달러가 추가돼 소비자가 총 결제하는 금액이 44.68달러가 되는 식이다.

테무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품목에는 수입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면서 “수입 수수료는 구매자를 대신해 (미국)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수입 수수료(import fee)를 포함한 모든 세관 관련 절차와 비용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표시된 금액은 실제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금액과 다를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이번에 도입된 수입 수수료는 미국 현지 물류창고에서 출고되는 상품에는 부과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경쟁업체 쉬인도 25일 상품 가격을 인상했다. 그러나 테무와 같이 수입 수수료를 도입한 방식은 아니라고 CNBC는 설명했다. 쉬인은 배너를 추가하고 “관세는 가격에 포함됐다. 배송 시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안내했다.

블룸버그통신이 24~26일 쉬인이 판매하는 여러 품목의 가격 변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미국에서 쉬인 제품 가격은 전반적으로 10%가량 인상됐다.

카테고리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미용 및 건강용품 상위 100개 제품의 평균 가격이 전날 대비 51% 인상됐고, 일부 품목은 두 배 가까이 올랐다.

테무와 쉬인의 조치는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이 800달러 미만 소액화물 관세를 면제하는 소액 면세 재도를 다음 달 2일부터 폐지하고 120% 관세를 부과하는 데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두 업체는 해당 제도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 미국 시장에서 급성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용률 하락하는데 실업률은 상승⋯청년 고용난 심화
  • 톰형의 30년 세월 녹아있는 미션 임파서블…그 마지막 이야기 [시네마천국]
  • "곡성으로 만발한 장미 보러 가세요"…문학 고장 옥천서 열리는 지용제 [주말N축제]
  • 간접적으로 직업 체험 해볼까…현실감 있는 직업 체험 게임 5선 [딥인더게임]
  • '환불 불가' 헬스장 분쟁 급증...소비자원 "장기·고액 계약 주의"
  • 이번 주말, 한강서 스트레스 날릴까...행사 풍성
  • 직원들 피켓팅 들고 일어난다…네이버에 일어난 일
  • 치매 원인 ‘알츠하이머병’, 초기 관리가 관건[e건강~쏙]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95,000
    • +0.2%
    • 이더리움
    • 3,527,000
    • -3.1%
    • 비트코인 캐시
    • 557,000
    • -0.45%
    • 리플
    • 3,337
    • -1.91%
    • 솔라나
    • 238,300
    • -1.37%
    • 에이다
    • 1,077
    • -0.92%
    • 이오스
    • 1,144
    • -3.87%
    • 트론
    • 385
    • +0.26%
    • 스텔라루멘
    • 408
    • -2.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250
    • -3.27%
    • 체인링크
    • 21,890
    • -3.74%
    • 샌드박스
    • 435
    • -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