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체결하려고 하는 광물 개발 협정에서 지금껏 제공한 원조에 대한 보상은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 우크라이나도 부담을 덜 것으로 보인다.
27일(현지시간) 키이우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총리는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좋은 진전이 있었다”며 “서명 이전에 제공된 미국의 원조는 (광물 협정) 문서에 포함하지 않기로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슈미할 총리는 24~26일 미국을 방문해 광물 협정을 논의했다.
타라스 카치카 우크라이나 무역대표부 대표도 미국과의 회담 전 “서명 이전에 제공된 미국의 원조를 부채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며 “미국은 파트너 중 하나로서 이 기금의 활동을 통해 제공된 원조만큼의 수익을 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우 전쟁 종전 협상을 중재하면서 그간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원조액에 대해선 우크라이나에 매장된 희토류 등 각종 전략 광물 개발권 등을 통해 갚아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관련 뉴스
광물 개발권 및 수익 외에도 주요 인프라 개발 등에 대해서도 지분을 요구했는데, 우크라이나가 요구하는 안보 보장은 명시하지 않으면서 상환이 불가능한 수준의 돈을 갚으라고 하는 협정을 압박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물론 국제사회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슈미할 총리는 “우리의 ‘레드라인’을 명확히 규정했다”며 “이 협정은 반드시 유럽의 의무에 부합해야 하며 우크라이나의 헌법과 법률에 반하지 않으며 의회의 비준을 받아야만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