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LNG선 매출 비중 늘며 수익성 개선
미국 LNG 수출 및 조선업 재건 정책 영향 긍정적
초대형 부유식 도크·해상크레인 도입해 생산성 제고
한화오션이 고수익 선박 매출 확대에 힘입어 1분기 '깜짝 실적'을 거뒀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중심 수익 구조로 견조한 수익성을 이어가는 한편, 세계 최고 수준 부유식 도크와 초대형 해상 크레인 투자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3조1431억 원, 영업이익 258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6%, 388.8% 각각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저가에 수주한 컨테이너선 매출 인식 비중이 줄고 수익성 높은 LNG 운반선 비중이 확대되며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여기에 환율 상승에 따른 300억 원가량의 일회성 이익, 생산 정상화 노력 등의 요인들이 힘을 보탰다.
사업부별로 살펴보면 상선사업부는 매출 2조5686억 원, 영업이익은 2333억 원을 기록했다. 고선가 LNG선을 중심으로 한 제품 믹스 개선, 생산 안정화 지속, 원가 절감 활동 등 구조적인 개선 요인들이 더해지며 흑자 폭이 커졌다.
AI 추천 뉴스
특수선사업부는 매출 3034억 원, 영업이익 413억 원을 각각 올렸다. 올해는 잠수함 신조 3척(장보고-Ⅲ 배치(Batch)-Ⅱ 1·2·3번함)과 창정비, 지난해 수주한 미국 해군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등을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해양사업부는 매출 2319억 원, 영업이익 22억 원을 거뒀다. 카타르 NOC의 고정식 원유생산설비, 카델라 해상풍력설치선(WTIV) 1호선 등 일부 프로젝트 공정이 마무리되며 수익이 다소 감소했다. 향후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FPSO)와 부유식 LNG 설비(FLNG), 해상풍력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한화오션은 고수익 LNG선 매출 비중을 60~70% 수준으로 유지, 견조한 이익 흐름을 이어갈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이날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미국의 LNG 및 원유 수출 증가로 LNG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초대형 에탄운반선(VLEC) 등 주요 선종에 대한 신조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는 만큼 수익성 중심 선별 수주 전략을 지속하겠다"며 "올해는 20척 이상의 LNG선이 인도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해군력 증강 및 조선업 재건 전략에 발맞춰 현지 생산성도 높인다. 지난해 인수한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의 생산능력을 연 1~1.5척 수준에서 2배 이상으로 확대하고, 공정별 밀착 관리를 통해 조기 정상화에 힘쓴다.
또한 생산력 향상을 위해 6000억 원을 투자해 세계 최고 수준의 부유식 도크와 6500톤(t)급 초대형 해상 크레인을 새롭게 도입하기로 했다.
2027년 3월까지 도입되는 부유식 도크는 길이 480m, 폭 97m, 부양 능력 18만t으로 기존 도크와의 역할 분리를 통해 생산을 최적화할 수 있다. 현재는 육상 도크 2기, 부유식 도크 3기 등을 운영하고 있다.
6500t급 해상 크레인은 대형 블록을 직접 인양 및 탑재할 수 있어 기존 3600t급 해상 크레인 2기를 병렬로 연결했던 복잡한 공정을 단순화해 건조 효율성을 대폭 높인다. 2027년 11월 말까지 도입 예정이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외부 임차 설비 의존도를 줄이고, 선박 생산량 및 건조 효율성 증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글로벌 오션 솔루션 프로바이더'라는 비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