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압박 트럼프 유화적으로 전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를 향해 “금리 인하”를 압박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화적 자세로 전환하자 국채는 물론 주가와 환율 등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특히 대표적인 안전 자산 가운데 하나로 꼽혀온 미국 국채는 여전히 탄탄한 외국인 수요를 유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미국 재무부 자료를 바탕으로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며 ‘셀 아메리카’ 우려가 커졌으나 외국인의 국채 수요는 꾸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보도했다.
앞서 9∼10일 사이 열렸던 10년물ㆍ30년물 국채 경매에서도 외국인 수요가 이어졌다. 390억 달러(약 55조7000억 원) 규모의 10년물 경매 물량의 18.4%는 외국인 또는 외국기관이 매수했다. 220억 달러(약 31조4000억 원) 규모의 30년 물 역시 10.6%는 외국인이 챙겼던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 뉴스
이는 3월(각각 11.9%와 9.7%)보다는 높고 2월(각각 20.6%·11.6%)보다는 낮은 수치다. 지난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미국 국채 경매에서 외국·국제 기관들이 가져간 물량의 평균 비중은 10년물이 13.9%, 30년물이 10.7%다.
이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11일 4.58%까지 치솟았다. 국채 금리 상승은 국채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을 압박하며 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주요 미국 자산과 달러 가치가 급락하기도 했다. 이달 중순을 넘어서며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세정책에서 유화적 자세를 보이면서 시장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패배자"(loser)로 칭하며 기준금리 인하를 거듭 압박했지만, 다음날인 22일 정규장 마감 후 "그를 해임할 생각이 전혀 없다"면서 "그가 금리 인하 아이디어에 좀 더 적극적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