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엘리서치 "인크로스, 넷플릭스 광고 시장 진출…OTT 협업 확장 기대"

입력 2025-04-10 08: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지엘리서치)
(출처=지엘리서치)

지엘리서치는 10일 인크로스에 대해 넷플릭스에 광고 판매를 시작하며 미디어렙 시장 내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커머스 사업의 성장을 노린다고 분석했다.

인크로스는 SK그룹 소속으로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및 커머스 사업 영위하는 기업이다. SK그룹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및 커머스 사업 영위를 담당하며, 다양한 디지털 광고 매체를 대상으로 광고 상품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미디어렙이 핵심 사업 부문이다. 미디어렙은 광고주와 광고 매체 사이를 연결하는 중개자로서, 광고 전 과정에 걸쳐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박창윤 지엘리서치 연구원은 "인크로스는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뿐 아니라 OTT(넷플릭스 등), 모바일 앱,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등 다양한 매체에 대한 광고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타겟층을 아우를 수 있는 광고 캠페인을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라며 "TV 광고 대신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광고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2025년부터는 넷플릭스 광고 판매를 시작하며 미디어렙 시장 내 입지를 더욱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디즈니플러스 등 다른 OTT 플랫폼과의 협업 확장 가능성이 기대된다"라며 "인공지능(AI) 기반 PPL 캠페인 플랫폼 ‘스텔라이즈’ 등 전통적인 디지털 광고 외에도 콘텐츠 기반의 브랜드 마케팅 영역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동사는 커머스 사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운영 대행 모델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부터 현대자동차의 포인트몰 '현대샵'의 위탁 운영을 시작했다"라며 "다양한 대기업 등 방대한 고객 풀을 가진 파트너사를 지속 발굴하며 신규 커머스 플랫폼 운영 계약도 추진하며 기업간거래(B2B) 중심 커머스 전략을 펼쳐나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2025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550억 원, 영업이익은 80% 늘어난 18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광고와 커머스 양대 축의 안정적인 실적에 더해, 신규 사업 확장을 통한 실적 가시화를 기대한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승의 날 인사말 고민? 2025 스승의 날 문구 총정리
  • ‘김동선 주도’ 한화호텔, 매출 2조 아워홈 인수 완료…“식음•푸드테크 확장”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숨고르기 장세…기술주는 강세 지속
  • 1분기 실적보니…유한·녹십자·대웅 ‘선방’, 종근당·한미 ‘아쉬워’
  • 푸틴·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러, 협상단장에 대통령 보좌관 지명
  • 단독 홍준표 “‘국민의 힘에서’ 은퇴한 것…대선 끝나면 복귀”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10: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00,000
    • -0.16%
    • 이더리움
    • 3,706,000
    • -2.32%
    • 비트코인 캐시
    • 568,500
    • -1.64%
    • 리플
    • 3,609
    • -0.11%
    • 솔라나
    • 250,000
    • -2.46%
    • 에이다
    • 1,135
    • -2.07%
    • 이오스
    • 1,129
    • -9.24%
    • 트론
    • 388
    • +1.84%
    • 스텔라루멘
    • 432
    • -1.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00
    • -4.2%
    • 체인링크
    • 24,140
    • -1.23%
    • 샌드박스
    • 500
    • -7.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