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 신고, 6개월 만에 29.7% 감소…"사전 차단 효과"

입력 2025-03-28 09: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4 하반기 스팸 신고·탐지 건수 1.9억 건…29.7%↓

(사진제공=방송통신위원회)
(사진제공=방송통신위원회)

지난해 하반기 스팸 신고 건수가 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며 전반기 대비 약 30% 감소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7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4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작년 상반기 급증했던 2만 2680건으로 급증했던 불법 스팸 신고‧탐지 건수가 하반기 1만 5952건으로 29.7% 감소했다. 불법스팸은 하반기 휴대전화, 음성 등 전 분야에 걸쳐 급감했다. 최근 5년 내 전 분야 감소는 처음이다. 특히 작년 한 해 스팸 수신량과 신고‧탐지건수가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에 각각 29.0%, 29.7% 가까이 줄었다.

작년 하반기 조사대상 이용자의 불법스팸 총 수신량은 11.60통으로 전반기 16.34통에 비해 4.74통 줄었고, 스팸 신고‧탐지 건수도 1억 5952만 건으로 전반기 2억 2680만 건에 비해 약 29.7%인 6728만 건 감소했다.

1인당 휴대전화 문자스팸 수신량은 7.32통으로 전반기 11.59통 대비 4.27통 감소했으나, 투자유도 등의 금융 및 도박 유형 스팸은 62.6%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1인당 음성스팸 수신량은 1.53통으로 전반기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전자메일을 통한 수신량은 2.75통으로 전반기 대비 0.47통 감소했다.

이용자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했거나 자체 탐지 시스템을 통해 차단된 스팸 신고‧탐지 건수는 1억 5952만 건으로 전반기 2억 2680만 건 대비 약 29.7% 감소했다.

이 중 휴대전화 문자스팸 신고‧탐지건수는 총 1억 5020만 건으로 전반기 2억 1150만 건 대비 29%인 6130만 건 감소했다.

문자스팸 발송경로별 비중을 보면 국내 문자스팸이 약 53.9%로 전반기 76.4% 대비 22.5%p 감소한 반면, 국외 문자스팸 비율은 46.1%로 전반기 23.6% 대비 22.5%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음성스팸 신고·탐지 건수는 총 504만 건으로, 전반기 대비 16.1%인 97만 건 감소한 가운데, 통신가입 광고와 불법대출 유형 스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반기 불법스팸 감소는 대량문자 발송 사업자에 대한 긴급 점검, 삼성전자 등과의 협업을 통한 스마트폰 내에서의 스팸문자 자체 차단, 문제 사업자(블랙리스트)에 대한 발송단계에서의 사전 발송 금지 등을 시행한 효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이러한 조치를 담은 ‘범정부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신영규 방통위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앞으로도 불법스팸 감축을 위한 종합대책의 각 세부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날씨] 오후부터 일부 지역 비 소식…시간당 최대 10㎜ 소나기 주의
  • '나는솔로' 26기 영호, 여성 3인의 선택⋯현숙까지 몰렸다 "가장 잘생겨"
  • “동남아 여행 괜찮을까요?” 니파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경고 [해시태그]
  • 단독 美서 퇴출 수순 '中 항만크레인', 韓 시장 절반 넘게 장악
  • KIA 김도영, 햄스트링 또 터졌다⋯부상 악령 시달리는 디펜딩 챔피언
  • 세금 성실히 내고 쌓은 ‘세금포인트’로 혜택 누려볼까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456,000
    • -0.64%
    • 이더리움
    • 3,729,000
    • +1.28%
    • 비트코인 캐시
    • 587,500
    • +2.09%
    • 리플
    • 3,170
    • -1.4%
    • 솔라나
    • 239,900
    • -2%
    • 에이다
    • 1,040
    • -0.95%
    • 이오스
    • 1,041
    • -2.25%
    • 트론
    • 382
    • -0.78%
    • 스텔라루멘
    • 39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800
    • -0.2%
    • 체인링크
    • 21,850
    • -0.77%
    • 샌드박스
    • 425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