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공공분야 AI 확산 신규 과제 착수

입력 2024-07-0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부처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공공분야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는 ‘부처협업 기반 AI확산’사업의 ’2024년 신규과제를 착수한다고 2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전국민 AI일상화 추진의 일환으로 다양한 공공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AI서비스를 개발‧실증하기 위한 ‘부처협업 기반 AI확산’ 사업을 2022년부터 추진해왔다.

올해에는 지원규모를 240억 원으로 확대해 기존 추진 과제들과 함께 10개 신규과제에 대한 기술개발과 실증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부‧처‧청 등 중앙행정기관 수요 공모를 통해 과제를 기획하였으며, 이후 AI서비스를 개발할 수행기관을 공모하고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을 완료하였다.

’24년 신규과제들은 보훈, 환경, 교통, 안전, 고용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분야로 구성됐으며 총 3년 동안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이는 △AI기반 개인맞춤형 보훈재가복지솔루션 개발 및 실증 △AI기반 드론 인명구조·수색시스템 개발 및 실증 △AI융합 약관심사플랫폼 개발 및 실증 △AI기반 중증 외상 전주기 케어시스템 개발 및 실증 △AI융합 특수의료장비 영상품질검사 플랫폼 개발 및 실증 △AI기반 마른김 품질 등급 판별 솔루션 개발 및 실증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및 사전예방 솔루션 개발 및 실증 △AI기반 국토 변화탐지 솔루션 개발 및 실증 △AI 빛공해 이미지 분석 솔루션 개발 및 실증 △AI기반 구인·구직 통합지원 솔루션 개발 및 실증 등이다.

각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가공할 수 있는 환경(안심존) 에서 데이터를 학습하고 AI서비스를 개발하게 되며, 마지막 해에는 실제 수요기관 테스트베드 등을 활용한 실증을 거쳐 성능 고도화 후 각 공공분야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사회적 파급력이 높은 공공분야에 AI를 선도적으로 접목함으로써 국민들이 일상에서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AI 일상화 노력을 지속하는 것은 물론, 국내의 경쟁력 있는 AI서비스가 공공 뿐 아니라 민간과 글로벌 시장에도 확산‧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속보 미중 “90일간 관세 일부 유예”…공동성명 발표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수방사 前부관 “尹, 이진우에게 ‘총 쏴서라도 들어가’라고 지시”
  • SKT, 12일부터 유심 재설정 도입…대리점 직접 방문해야
  • “대권 꿈 깨셨으면 집에 가세요”…경선 탈락 광역단체장 복귀에 지역 민심 ‘부글’ [이슈크래커]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삼성물산 vs 현대건설, '재건축 끝판왕' 압구정 2구역 쟁탈전 [정비사업 불꽃 수주전②]
  • 줄어든 식집사?…좋지만 번거로움에 멈춘 식물 키우기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723,000
    • +0.26%
    • 이더리움
    • 3,580,000
    • +3.14%
    • 비트코인 캐시
    • 581,000
    • +1.66%
    • 리플
    • 3,634
    • +10.42%
    • 솔라나
    • 253,100
    • +5.63%
    • 에이다
    • 1,175
    • +6.33%
    • 이오스
    • 1,286
    • +3.46%
    • 트론
    • 390
    • +6.85%
    • 스텔라루멘
    • 457
    • +7.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850
    • +0.17%
    • 체인링크
    • 24,370
    • +5.22%
    • 샌드박스
    • 516
    • +4.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