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굴기’ 위해 사상 최대 65조원 펀드 조성

입력 2024-05-27 16:06 수정 2024-05-27 17: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4년 첫 펀드 이후 3번째 펀드 출범
AI 반도체 초점 맞출 전망
제조장비 자체 개발도 박차
‘전방위 압박’ 서방과 경쟁서 맞불

중국이 역대 최대 규모의 국가 반도체 펀드를 조성했다. ‘반도체 굴기’를 위한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27일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기업정보사이트 텐옌차를 인용해 신규 국책펀드인 ‘국가반도체산업투자기금(이하 반도체 펀드) 3기’가 24일 3440억 위안(약 65조 원) 규모로 조성됐다고 보도했다.

최대투자자는 중국 재정부로 출자비율은 17%에 달한다. 이밖에 중국공상은행의 자회사, 선전과 베이징시 정부 산하 투자사 등 국유기업들이 9~10%대의 출자율로 주요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선전시는 미국 정부의 수년간 제재를 받은 화웨이테크놀로지 본사가 있는 도시다.

중국 정부는 2015년 발표한 제조업 강국 건설 계획인 ‘중국 제조 2025’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2014년 반도체 펀드를 처음 조성했다. 1기 펀드 규모는 약 1400억 위안이었다. 이후 2019년에 조성된 2기 펀드는 2000억 위안으로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세 번째로 조성된 이번 펀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중국은 그간 반도체 펀드를 통해 화웨이와 SMIC 등은 대기업은 물론 유망 반도체 관련 기업과 공장 등 100여 곳에 투자했다. 신규 국책펀드의 구체적인 투자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투자는 기술 자립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업계에서는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로 수입이 여의치 않게 된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중심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기존 구형 반도체 제조장비를 통해서도 AI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등의 연구·개발(R&D)에도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사상 최대 반도체 펀드를 출범하는 등 ‘반도체 굴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칭화대 연구진이 개발한 ‘아날로그 광전자 칩’ 이미지. 신화뉴시스
▲중국 정부가 사상 최대 반도체 펀드를 출범하는 등 ‘반도체 굴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칭화대 연구진이 개발한 ‘아날로그 광전자 칩’ 이미지. 신화뉴시스
또한 미국 정부의 수입 규제 대상인 제조장비 자체 개발은 물론 실리콘웨이퍼와 여기에 들어가는 화학제품과 산업용 가스 등 반도체 재료를 만드는 자국 기업 육성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펀드 투자 총괄은 공업정보화부 인터넷안전관리국 부국장을 지냈던 장신 총재가 맡는다. 공업정보화부는 반도체를 비롯한 산업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이번 3기 반도체 펀드 조성은 반도체 패권을 놓고 미국과 유럽 등 서방과의 경쟁에서 맞불을 놓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정부는 한국을 포함해 네덜란드, 독일, 일본 동맹국에 중국에 대한 반도체 관련 수출 규제를 강화할 것을 주문하며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구권이 집행한 반도체 관련 투자액은 약 810억 달러(110조 원)에 달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588,000
    • -1.78%
    • 이더리움
    • 4,953,000
    • -2.65%
    • 비트코인 캐시
    • 588,000
    • -3.45%
    • 리플
    • 719
    • +3.75%
    • 솔라나
    • 201,200
    • -4.1%
    • 에이다
    • 568
    • -3.4%
    • 이오스
    • 877
    • -5.39%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300
    • -3.86%
    • 체인링크
    • 20,360
    • -4.59%
    • 샌드박스
    • 487
    • -1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