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 체납률 11년 만에 최악…'청년 고용' 시장마저 둔화

입력 2024-04-13 09: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체납된 학자금 규모 661억 원…11년 만에 최고치
청년 고용시장 둔화…취업자 증가 폭 2년래 최저

(뉴시스)
(뉴시스)

학자금 체납 비율이 11년 만에 최고치에 달했다. 대출자 100명 중 16명은 학자금을 갚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상환 의무가 있지만 체납된 학자금 규모는 작년 말 661억 원으로 전년(552억 원)보다 19.7% 증가했다.

상환 대상 학자금(4037억 원) 대비 체납액의 비중인 체납률은 16.4%였다. 이는 2012년(17.8%)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상환 대상 학자금은 2022년 3569억 원에서 지난해 4037억 원으로 13.1% 늘었다.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는 대학(원)생에게 학자금을 대출해주고 취업 등으로 소득이 발생했을 때 소득 수준에 따라 원리금을 상환하는 제도다.

국세청은 학자금 대출자의 연간 소득이 '상환 기준 소득'을 넘어서는 경우 다음 해 의무 상환 대상자로 지정하고 학자금을 갚도록 한다. 2022년 상환 기준 소득은 1510만 원이었다.

지난해 말 체납 인원은 5만1116명으로 15.6%(6900명) 늘었다. 대출자 31만8395명 대비 체납률은 16.1%. 상환 의무가 생긴 100명 가운데 16명은 학자금을 갚지 못했다는 의미다.

1인당 평균 체납액은 129만 원으로 3.2%(4만 원) 증가했다. 취업했으나 상환하지 못하는 등 일부 청년층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고용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이어지던 회복세가 둔화하고 있다.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39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3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2021년 2월 47만3000명으로 줄어든 뒤로 3년 1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3만1000명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은 45.9%로 0.3%p 내려가 6개월 만에 하락했다.

민주당 양경숙 의원은 "체납 규모나 인원이 급증한 것은 대학 졸업 후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할 정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정부가 경각심을 갖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부산‧광주‧대구 ‘휘청’…지역 뿌리산업 덮친 ‘회생‧파산 도미노’
  • 홍콩은 거래 시작인데…美 이더리움 현물 ETF는 5월 승인 ‘먹구름’
  • HLB, 간암 신약 美FDA 허가 초읽기…‘승인 확신’ 이유는?
  • 서울대·세브란스병원·고려대병원 오늘 외래·수술 없다
  • 극장 웃지만 스크린 독과점 어쩌나…'범죄도시4' 흥행의 명암
  • 산은이 '멱살' 잡고 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D-데이'
  • 소주·맥주 7000원 시대…3900원 '파격' 가격으로 서민 공략 나선 식당들 [이슈크래커]
  • 근로자의 날·어린이날도 연차 쓰고 쉬라는 회사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0:1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86,000
    • +1.67%
    • 이더리움
    • 4,607,000
    • -1.73%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1.18%
    • 리플
    • 737
    • +0.41%
    • 솔라나
    • 198,100
    • +0.25%
    • 에이다
    • 658
    • -0.45%
    • 이오스
    • 1,162
    • +2.56%
    • 트론
    • 171
    • -1.16%
    • 스텔라루멘
    • 161
    • -0.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250
    • -0.05%
    • 체인링크
    • 20,180
    • +1.51%
    • 샌드박스
    • 636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