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출산율 추락, 이유 알겠다” 강남 산후조리원 경험한 NYT 기자

입력 2024-01-30 09: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뉴시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뉴시스
서울 강남의 고급 산후조리원을 체험한 외국인 기자가 미국 뉴욕타임스(NYT)를 통해 자신의 경험담을 공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NYT는 최근 한국에서 출산한 뒤 강남의 고급 산후조리원에 입소했던 로레타 찰튼 서울지국 에디터의 경험담을 소개했다.

찰튼 에디터는 자신이 입소한 강남 산후조리원의 서비스를 자세히 소개했다. 신선한 식사가 하루 3번 제공되는 것은 기본이고 얼굴과 전신 마사지 서비스는 물론 신생아 양육을 위한 수업도 진행된다. 한밤 중에는 수유를 한 뒤 신생아를 간호사에게 맡기고 독실로 돌아가 잠을 잘 수 있다.

찰튼 에디터는 “잠은 산후조리원에서 산모들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호사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얼굴과 전신 마사지 서비스는 물론 모유수유 방법 등을 포함한 신생아 양육을 위한 수업도 진행된다. 그는 한국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에 간다고 소개하며 산후조리원의 수요가 높아 임신 사실이 확인되는 순간 예약을 하지 않으면 입소가 힘들 정도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찰튼 에디터는 조리원 입소 비용은 체류기간에 따라 수천달러(수백만 원)에서 수만달러(수천달러) 수준이라며 산후조리원 입소에 드는 큰돈은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전체 비용에선 극히 일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인 이유를 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NYT는 “산후조리원이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단 2주에 불과하고 이후의 삶은 또 다른 이야기”라며 출산을 앞둔 한국 여성의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다. 다만 매체는 “한국식 산후조리 서비스를 미국에서도 누리면 좋겠다”는 한국계 미국인의 희망사항을 전하기도 했다.

한편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16년부터 7년 연속 감소 추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023년엔 상황이 더 나빠졌다. 지난해 1분기 0.81명으로 소폭 증가하긴 했지만 2분기와 3분기에는 0.70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에 2023년 합계출산율을 0.72명으로 추정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 가능 인구는 2020년대 약 3700만 명에서 2030년대에는 3400만 명 밑으로, 이후 2050년에는 2400만 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한국 정부가 가족 복지에 투입하는 공공 지출 비용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1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가족 관련 공공 지출은 가족수당, 출산휴가, 유아교육·보육 서비스, 가사 지원 등 정부의 현금·현물 지원 총합을 GDP로 나눈 값이다. 한국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기간 및 사용 비율도 OECD 국가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OECD 최하위인 만큼 관련 지원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무대를 뒤집어 놓으셨다…'국힙원탑' 민희진의 기자회견, 그 후 [해시태그]
  • [유하영의 금융TMI] 위기 때마다 구원투수 된 ‘정책금융’…부동산PF에도 통할까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번엔 독일행…글로벌 경영 박차
  • ‘이재명 입’에 달렸다...성공보다 실패 많았던 영수회담
  •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대상 ‘만 19~39세’로 확대
  • "고구마에도 선이 있다"…'눈물의 여왕' 시청자들 분노 폭발
  • 투자자들, 전 세계 중앙은행 금리 인하 연기에 베팅
  • 잠자던 '구하라법', 숨통 트이나…유류분 제도 47년 만에 일부 '위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070,000
    • +0.46%
    • 이더리움
    • 4,713,000
    • +4.45%
    • 비트코인 캐시
    • 684,000
    • +1.03%
    • 리플
    • 743
    • +0%
    • 솔라나
    • 202,600
    • +2.48%
    • 에이다
    • 672
    • +2.13%
    • 이오스
    • 1,154
    • -1.87%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63
    • +0.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550
    • +2.03%
    • 체인링크
    • 20,140
    • -1.08%
    • 샌드박스
    • 652
    • +1.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