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보릿고개…“신소재ㆍ고부가가치사업으로 돌파”

입력 2023-11-05 10:48 수정 2023-11-05 10: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단협 잠정 합의 이뤄냈는데…
수요 부진 등 업황 악화 지속
철강업계, 영업이익 28.4% ↓
풍력발전, 방산 등 다각화 노력

▲한 근로자가 출선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제철)
▲한 근로자가 출선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제철)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임금 및 단체협상 갈등 등 한바탕 홍역을 치른 철강업계가 때아닌 보릿고개를 맞았다. 수요 부진, 가격 하락 등 업황 악화 문제로 내년까지 침체가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철강사들은 신소재ㆍ고부가가치사업 확장 전략으로 위기를 타개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5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철강 부문), 세아베스틸지주, 현대제철 등 3사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1조122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분기(1조5684억 원)보다 28.4% 쪼그라든 규모다. 글로벌 철강 시황 부진으로 매출 또한 7.0% 감소한 23조466억 원을 기록했다.

철강업계는 최악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애초 실적 증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했던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주춤하면서 실적 회복이 더뎌지고 하반기 비수기 영향으로 판매량 또한 줄어들고 있다. 여기에 역대급 엔저 현상을 탄 일본 기업의 공세로 철강재 수출 경쟁력 저하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업황은 건설ㆍ자동차ㆍ조선 업황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은데 수요 산업 전반의 침체로 판매량이 크게 줄어든 것이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며 “글로벌 제조업 침체 및 교역 감소로 경제 저성장 전환, 전방 산업의 전반적인 부진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밝혔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시장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손가락만 빨 수 없는 노릇. 철강사들은 불황 장기화에 대비해 신소재 및 고부가가치 제품 기술 개발에 매진하며 미래 먹거리 발굴에 공을 들이고 있다.

맏형 격인 포스코홀딩스는 전남 광양에 친환경차 모터코어용 전기강판 ‘High-grade NO’ 공장을 증설해 2030년까지 연 100만 톤(t) 생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및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의 멕시코 모터코어 150만 대 공장 준공 등 2030년 700만 대 판매체제를 구축해 철강업계 글로벌 지위를 구축하고 시장 선점에 나선다.

세아베스틸지주는 풍력 발전, 방위 산업, 수소 산업 등 새로운 시장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세아제강지주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법인 세아윈드를 설립하고 영국 티스사이드(Teesside)에 모노파일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세아윈드의 영국 모노파일 생산 공장은 2024년 말부터 가동 예정이며, 9만247㎡ 규모로 연간 생산 능력(Capacity)은 24만t이다.

세아창원특수강은 수소 생태계 및 수소 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스테인리스 봉강 및 무계목강관 등 일반 철강재 대비 수소취성 및 극저온성, 내압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소재를 개발 중이다. 앞서 6월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민항기 동체 및 날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단조품 공동 개발을 완료했다.

현대제철은 프리미엄 브랜드인 에이치 코어(H CORE)를 내세운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용접성, 내식성, 내충격성, 고연성, 친환경성 등 특정 기준에 따라 일반 제품 대비 우수한 제품에만 선별적으로 적용한 H CORE는 지난해 기존 내진용 강재에서 프리미엄 건설용 강재로 확장한 제품이다.

김현태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철강 시황은 4분기에도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핵심 변수인 중국의 부동산 경기가 여전히 부진하고, 부양책 및 감산 기대감도 점점 옅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국내 전방산업 역시 대부분 수요 지표가 둔화하고 있어 철강 시황의 빠른 반전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철강업계 #철강 #세아베스틸지주 #현대제철 #세아제강지주

관련 뉴스

주요 뉴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2:2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624,000
    • -2.99%
    • 이더리움
    • 4,587,000
    • -3.67%
    • 비트코인 캐시
    • 666,500
    • -4.79%
    • 리플
    • 726
    • -3.71%
    • 솔라나
    • 195,400
    • -5.83%
    • 에이다
    • 653
    • -4.81%
    • 이오스
    • 1,127
    • -4.49%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60
    • -4.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050
    • -4.56%
    • 체인링크
    • 19,920
    • -3.86%
    • 샌드박스
    • 636
    • -5.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