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 LH 아파트, 3년 전 '붕괴위험' 경고받았다

입력 2023-10-15 09: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천 검단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지붕 붕괴 현장. (사진=정용욱 기자 dragon@)
▲인천 검단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 지붕 붕괴 현장. (사진=정용욱 기자 dragon@)

인천 검단신도시 LH 아파트가 3년 전에 지하주차장 붕괴 위험을 경고받은 것은 나타났다. 착공 전부터 무량판 구조 지하주차장의 시공 절차와 안전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던 만큼 발주청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관리를 더 철저히 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토안전관리원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토안전관리원은 인천 검단 AA13-2BL 공동주택 건설사업의 설계안전 검토 보고서에 대한 검토 의견을 2020년 9월 LH에 보냈다.

이 의견서에는 지하주차장 슬라브(두께 450mm~300mm) 콘크리트 타설 및 작업 중 무너짐 위험 요소가 도출됐다는 내용이 담겼다. 무량판 구조 시공 절차 수립 및 안전성 검토 확인이 필요하다고도 명시했다.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3년 전에 붕괴 위험이 있다는 경고가 나온 것이다.

이에 LH는 "강관 동바리(지지대) 설치 위치를 추가 반영했으며 시공 단계 설치 위치에 따른 구조 검토를 실시하고 시공 상세 도면을 반영할 수 있도록 수정했다"는 검토 의견 조치 결과서를 보냈다. 지지대 추가 설치로 무너짐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2020년 12월 공사를 시작한 검단 아파트에서는 올해 4월 지하주차장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붕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설계·시공 단계에서의 전단보강근 누락, 지하주차장 위 조경공사 과정에서 설계 하중을 초과한 흙 쌓기, 콘크리트 강도 부족이 꼽힌다. 관리원이 지적한 무량판 구조 시공 안전성 확보 문제는 사고의 간접적 원인 중 하나다.

검단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원회는 무량판 구조의 안전 확보를 위한 설계 기준과 표준 시방서가 미흡했다고 밝힌 바 있다.

사고조사위원장을 맡았던 홍건호 호서대 교수는 "설계 안전성 검토 단계에서부터 경고가 나왔다면 LH가 좀 더 철저하게 관리·감독해야 했다"고 말했다.

허 의원은 "LH는 국민 주거 생활 향상이란 설립 목적에 맞게 안전한 건설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호중 소속사 대표 "운전자 바꿔치기 내가 지시"…김호중 대리 출석 녹취는?
  • 높아지는 대출문턱에 숨이 ‘턱’…신용점수 900점도 돈 빌리기 어렵다 [바늘구멍 대출문]
  • [노벨상 선진국 호주下] R&D 예산 GDP 0.5%인데…기초과학 강국 원동력은
  • AI 패권 도전한 日, 라인야후 사태 불 지폈다
  • 도마 오르는 임대차법, 개편 영향은?…"전세난 해소" vs "시장 불안 가중"
  • 中 본토 투자자 ‘거래 불가’…홍콩 가상자산 현물 ETF 약발 ‘뚝’
  • 속보 "슬로바키아 총리, 현재로선 생명 지장 없는 상태"
  • [종합] 뉴욕증시 3대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34,000
    • +6.58%
    • 이더리움
    • 4,200,000
    • +3.83%
    • 비트코인 캐시
    • 645,000
    • +7.32%
    • 리플
    • 720
    • +2.56%
    • 솔라나
    • 219,400
    • +9.97%
    • 에이다
    • 631
    • +5.17%
    • 이오스
    • 1,113
    • +4.9%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48
    • +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500
    • +7.34%
    • 체인링크
    • 19,320
    • +6.04%
    • 샌드박스
    • 608
    • +6.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