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한중 축구 ‘여론 조작’ 논란에 이동관 “여론 왜곡 취약…엄중 제재해야”

입력 2023-10-04 14: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카카오)
(사진제공=카카오)
카카오는 포털 사이트 다음의 항저우 아시안게임 응원페이지에서 중국 응원이 이례적으로 높은 것을 두고 매크로 조작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4일 카카오는 1일 다음 스포츠에서 아시안게임 한·중 남자축구 8강전 클릭 응원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해외 IP 2개가 전체 해외 IP 클릭 건수의 99.8%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슈가 된 한중 8강전에 대한 내부 파악 결과, 클릭 응원에 약 3,130만 건의 응원이 있었으며 한국 클릭 응원이 6.8% (211만 건), 중국 클릭 응원이 93.2%(2,919만 건)으로 집계됐다.

클릭 응원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IP 5591개 중 국내 IP 비중은 95%(5,318개)로 일반적인 수준이었으나 확인된 IP가 만들어낸 총 클릭 응원 수 2294만 건 중 해외 IP 비중은 86.9%(1,993만 건)였다. 해외 IP 응원 수를 분석한 결과 2개의 IP가 해외 IP 클릭의 99.8%인 1,989만 건을 차지했다.

2개 IP의 클릭 비중은 네덜란드 79.4%(1,539만 건), 일본 20.6%(449만 건)으로 해당 IP의 클릭은 경기가 끝난 2일 00시 30분경부터 이뤄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분석 결과 한중 8강전 클릭 응원 수의 이상 현상은 이용자가 적은 심야 시간 대 2개 IP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만들어낸 이례적인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서비스 취지를 훼손시키는 중대한 업무방해 행위로 간주,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클릭 응원이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횟수 제한 없이 클릭할 수 있어 특정팀에 대한 클릭 응원숫자가 과도하게 부풀려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해 10월 2일 해당 서비스를 중단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클릭 응원 외에 포털 내 비로그인 기반 서비스를 확인한 결과 티스토리 게시물에 대한 좋아요, 댓글 외에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앞으로 서비스 전반에서 어뷰징 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모니터링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은 다음․카카오 여론 왜곡사태와 관련 이날 국무회의에 참석해 방통위를 비롯해 법무부, 과기부, 문체부 등 유관 부처가 포털을 비롯한 사회적 파급력이 큰 주요 서비스의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범부처 TF를 시급히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 위원장의 보고 후 방통위, 법무부, 과기부, 문체부 등 유관 부처에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TF를 시급히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이 방통위원장은 “다음․카카오는 비로그인 상태 사용자의 1인당 응원 클릭 횟수 무제한 허용으로 인한 실수라고 하지만 그만큼 우리나라 포털 서비스들이 특정 세력의 여론 조작에 취약하다는 점을 재확인한 셈”이라며 “다음․카카오에 대한 관계 부처의 실태 조사를 통해 현행법령 위반 혐의가 확인될 경우 엄중한 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종합] 코픽스 반년 만에 상승 전환…주담대 금리 오른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005,000
    • -0.86%
    • 이더리움
    • 4,994,000
    • -0.91%
    • 비트코인 캐시
    • 588,500
    • -3.52%
    • 리플
    • 700
    • +1.01%
    • 솔라나
    • 205,900
    • +0.68%
    • 에이다
    • 575
    • -1.54%
    • 이오스
    • 899
    • -3.85%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7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550
    • -3.36%
    • 체인링크
    • 20,720
    • -1.33%
    • 샌드박스
    • 510
    • -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