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해보니 해양사고 1위는 기관손상…"고위험 선박 관리 강화"

입력 2023-05-0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고 잦은 해역 서해 평택~당진ㆍ태안ㆍ보령, 남해 목포ㆍ완도ㆍ여수

▲최근 5년간 해양사고 원인 분석 그래프. (해양교통안전공단)
▲최근 5년간 해양사고 원인 분석 그래프. (해양교통안전공단)
빅데이터를 통해 최근 5년간의 해양사고를 분석해보니 사고 원인 1위는 기관손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는 어선 등 기관손상 사고 등 고위험 선박에 대한 선박 안전관리 서비스를 강화한다.

6일 KOMSA가 자체 개발한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활용해 2018년부터 5년간 해양 사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 선박 수 1만5997척 가운데 기관손상 사고 발생 선박 수는 4313척(27%)으로 나타났다. 기관손상 사고는 주로 선박 설비(주기관‧보조기관‧보일러‧연료‧냉각수 펌프 등)가 손상되는 사고를 말한다.

특히 작년 5월 기준 전년 대비 증가한 해양 사고는 △기관손상 △조타장치 손상 △침수 △해양오염 △접촉 △충돌 △화재폭발로 분석됐다. 이중 기관손상은 전년 대비 사고 선박 수가 39척이나 증가해 전체 해양 사고 증가량의 절반 이상(63.9%)을 차지했다.

최근 5년간 기관손상 사고는 △어선 2779척 △비어선 355척 △수상레저기구 1179척에서 발생했다. 선박 용도에 따른 등록 척수별(어선 6만5531척, 비어선 8564척, 수상레저기구 3만3927척) 사고 발생률은 어선이 4.2%로 가장 높았다.

해상에서 기관손상 사고가 발생하면 육상과 달리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워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작년 10월 9.77톤급 연안어선 진성호 사건의 경우 주기관이 손상된 상태에서 시동을 시도하다 배터리 과열로 불이 나 부상자가 발생했다.

또 MTIS의 지리정보시스템(GIS)과 해양사고 재결서 키워드 분석을 통해 기관손상 사고 다발 해역과 사고 주요 원인을 파악했다.

GIS 분석 결과, 최근 5년간 5월 기관손상 사고는 주로 서해와 남해에서 발생했다. 서해는 평택~당진과 태안, 보령 인근, 남해는 목포, 완도, 여수 인근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5월 기준 기관손상 사고 GIS 분석 결과 지도. (사진제공=해양교통안전공단)
▲최근 5년간 5월 기준 기관손상 사고 GIS 분석 결과 지도. (사진제공=해양교통안전공단)
해양사고 재결서 2330개의 각 키워드를 빈도와 중요도로 구분해 워드 클라우드 기법으로 시각화한 결과 △파손/손상 △엔진/주기관 △정비/점검/관리소홀 등이 기관손상 사고 원인의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기관손상 사고 발생 시 선박이 표류하다 배가 암초 등에 얹히는 좌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에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으로 도출한 키워드 간 관계를 시각화한 결과, 육하원칙별로 관계성이 높은 개념은 △기관장(Who) △냉각계통(냉각수)·윤활유(What) △좌초(How) △파손/손상·정비/점검/관리소홀·부주의(Why)로 분석됐다.

공단은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어선 등 기관손상 사고 등 고위험 선박에 대한 선박 안전관리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어업인 등 종사자 대상 안전교육과 사고 원인에 따른 안전설비 보급 등 고위험 선박을 전담 관리하는 케어쉽(Care Ship) 서비스를 시작한다. 여기에 해양사고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어촌계를 선정해 지역별 전문정비업체와 함께 중소형 선박 안전진단 서비스도 추진한다.

또 어업인 등 선박종사자의 자가정비능력을 강화해 자율안전관리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올해 1월 공개한 기관(엔진) 5종에 대한 자가정비 매뉴얼과 교육영상을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매뉴얼과 교육영상은 공단 홈페이지(www.komsa.or.kr)와 공식 유튜브 채널(youtube.com/c/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준석 공단 이사장은 “기관손상 사고는 작은 결함이 화재‧폭발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사전 점검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현장 맞춤형 선박 안전관리 서비스 개발과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승률 1위 전선株, 올해만 최대 320%↑…“슈퍼사이클 5년 남았다”
  • '하이브' 엔터기업 최초 '대기업집단' 지정
  • 의대생 1학기 유급 미적용 검토…대학들 '특혜논란' 시비
  • [금융인사이트] 홍콩 ELS 분조위 결과에 혼란 가중... "그래서 내 배상비율은 얼마라구요?"
  • 옐런 “중국 관세, 미국 인플레에 영향 없다”
  • 15조 뭉칫돈 쏠린 ‘북미 펀드’…수익률도 14% ‘껑충’
  • 깜깜이 형사조정위원 선발…“합의 후 재고소” 등 부작용 우려도 [조정을 넘어 피해회복 '형사조정제도']
  • 베일 벗은 '삼식이 삼촌', 송강호 첫 드라마 도전에 '관심'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093,000
    • +0.54%
    • 이더리움
    • 4,083,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604,500
    • -0.82%
    • 리플
    • 701
    • -0.71%
    • 솔라나
    • 202,200
    • -1.08%
    • 에이다
    • 604
    • -0.98%
    • 이오스
    • 1,060
    • -2.39%
    • 트론
    • 176
    • +0.57%
    • 스텔라루멘
    • 145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800
    • -2.05%
    • 체인링크
    • 18,350
    • -3.06%
    • 샌드박스
    • 578
    • -0.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