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UV 경화형 고반사 코팅' 기술 국내 최초 개발

입력 2023-03-09 14: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휴대폰 후면 커버용 플라스틱 도료로 반사율이 높은 외관 구현

▲KCC가 휴대폰 후면 커버용 고반사 코팅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 했다. (사진제공=KCC)
▲KCC가 휴대폰 후면 커버용 고반사 코팅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 했다. (사진제공=KCC)

KCC는 플라스틱(PET)에 적용하는 ‘UV경화형 고반사 코팅’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특허 출원을 마쳤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기술은 자동 롤러로 소재 표면에 도료를 연속으로 칠하는 ‘롤 코팅’ 방식을 활용해 코팅 속도가 빠르고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생산 효율성이 높고, 도료가 얇고 균일하게 도장돼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KCC 관계자는 "기존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던 기술은 ‘금속이나 화합물 따위를 가열ㆍ증발시켜 그 증기를 물체 표면에 얇은 막으로 입히는’ 방식으로, 고가 장비 사용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건조 과정에서는 UV경화 기술을 활용해 도료의 화학반응을 촉진해 짧은 시간 안에 도막을 경화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광촉매가 필요하다"며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수분으로 분해해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인 이산화티타늄(TiO2)을 활용해 안전성도 확보했다"고 부연했다.

KCC는 마감재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휴대폰 후면 커버 시장에서 도료업체로서는 유일하게 판매를 확대해 가고 있다. 이번 기술은 올해 나오는 최신형 휴대폰에도 적용된다.

KCC는 플라스틱 도료 사업을 2015년에 본격적으로 시작해 2016년 중국(KCG) 및 베트남(KCH)에 글로벌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시장을 확대해가고 있다. 내오염성 소프트터치 질감 도료를 개발해 스마트 워치 밴드, 무선 이어폰 등 다양한 웨어러블(Wearable) 제품에 적용했다. 전자담배용 도료도 출시해 시장에서 앞장서고 있다.

KCC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 트렌드와 소비자 요구에 대응하는 국내 독자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KCC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역량을 더욱 강화하여 다양한 소재와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네이버 “지분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
  • 투명 랩 감고 길거리 걸었다…명품 브랜드들의 못말리는(?) 행보 [솔드아웃]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긍정적 사고 뛰어넘은 '원영적 사고', 대척점에 선 '희진적 사고' [요즘, 이거]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57,000
    • -1.58%
    • 이더리움
    • 4,084,000
    • -2.9%
    • 비트코인 캐시
    • 600,000
    • -4.08%
    • 리플
    • 709
    • -1.94%
    • 솔라나
    • 206,400
    • -1.01%
    • 에이다
    • 629
    • -1.72%
    • 이오스
    • 1,108
    • -2.03%
    • 트론
    • 179
    • +1.7%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50
    • -3.31%
    • 체인링크
    • 19,100
    • -3.63%
    • 샌드박스
    • 593
    • -2.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