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ㆍ고금리 부담에 인천·경기, 주택 '단타거래' 증가세

입력 2023-03-06 15:20 수정 2023-03-06 16: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인천과 경기지역에서 주택을 단기간에 사고 파는 이른바 단타 거래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역에선 주택 매입 후 2년도 보유하지 못하고 내다 파는 사례가 전월 대비 100건가량 늘었다. 이는 인천과 경기지역 집값 내림세가 가파르고,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부담까지 가중되자 일부 투자자를 중심으로 손절매 거래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6일 본지가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 분석 결과 지난달 집합건물 기준 보유 기간별 소유권이전등기(매매) 신청 건수(보유 기간 ‘2년 이하’)는 경기도는 981건으로 집계됐다. 1월 경기도 매매 신청 건수는 849건으로 지난달 신청 건수는 15.5%(132건) 늘었다. 같은 기간 인천은 390건에서 486건으로 24.6%(96건) 증가했다. 집합건물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빌라(연립·다세대주택) 등을 모두 포함하는 주택으로 볼 수 있다.

수도권만 놓고 보면 올해 인천과 경기지역 주택 단기 보유자 매도량 증가 추이는 서울과 정반대다. 서울은 1월 350건에서 지난달 358건으로 8건(2.3%) 느는 데 그쳤다. 서울 내 주택 단기 보유자 매도량은 지난해 9월 614건에서 같은 해 10월 473건, 11월 387건 등으로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인천과 경기도는 지난해 9월 각각 448건과 1069건을 기록한 뒤 연말까지 소폭 줄다가 올해 들어 다시 늘어나는 등 서울과 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인천과 경기도 내 주요 지역에선 단기 보유 후 매도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파트실거래가’ 통계 분석 결과, 인천 연수구 송도동 ‘e편한세상 송도’ 전용면적 70㎡형 14층 한 가구는 지난해 7월 21일 6억9000만 원에 거래됐다. 이후 해당 가구는 7개월 만인 지난달 21일 1억9000만 원 하락한 5억 원에 팔렸다.

또 경기 안양시 ‘래미안 안양메가트리아’ 전용 59㎡형 14층 가구는 지난 1월 20일 5억7000만 원에 손바뀜됐다. 이 가구는 아파트값이 한창 치솟던 2021년 11월 8억1800만 원에 거래된 이후 1년 2개월 만에 2억4800만 원 급락했다.

인천 송도동 S공인 관계자는 “고점에 매수했다가 이자 부담으로 집을 싸게 내놓는 경우가 제법 된다”며 “주로 젊은 사람들이 버티다가 집값이 자꾸 내려가니 일단 팔고, 전·월셋집을 알아보는 경우도 봤다”고 말했다.

실제로 인천과 경기도 집값 내림세는 전국 평균을 웃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올해 누적 아파트값 변동률은 인천 4.74%, 경기도 5.70% 하락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국 평균 하락률은 4.01%로 인천과 경기지역보다 덜 내렸다. 서울은 3.08% 하락해 경기도와 비교하면 2.62%포인트(p) 높았다.

여기에 고금리 부담도 주택 단기 매도를 부추긴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시중은행 가계대출 지역별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경기도 연체율은 0.20%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인천 역시 0.14%로 서울(0.14%)과 함께 전국 기준 연체율 상위권에 올랐다.

▲인천시 연수구 동춘터널에서 바라본 송도국제도시 일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인천시 연수구 동춘터널에서 바라본 송도국제도시 일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KB부동산은 전날 펴낸 부동산 보고서에서 “국내 주택담보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은 약 53%로, 변동금리 대출을 활용한 가구의 최근 이자 상환 부담은 상당할 것”이라며 “신용·기타대출을 활용한 주택 구매자의 경우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보유 주택 처분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주택 단기 보유 후 매도량 급증은 인천과 경기지역 집값 회복세가 더디고 가격 하락 가능성이 더 커지자 빨리 팔고 나오려는 투자자가 많아진 것”이라며 “이자 부담을 줄이고 투자금을 회수해 다른 곳으로 투자처를 이동하기 위한 단기 급매는 당분간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승률 1위 전선株, 올해만 최대 320%↑…“슈퍼사이클 5년 남았다”
  • '하이브' 엔터기업 최초 '대기업집단' 지정
  • 의대생 1학기 유급 미적용 검토…대학들 '특혜논란' 시비
  • [금융인사이트] 홍콩 ELS 분조위 결과에 혼란 가중... "그래서 내 배상비율은 얼마라구요?"
  • 옐런 “중국 관세, 미국 인플레에 영향 없다”
  • 15조 뭉칫돈 쏠린 ‘북미 펀드’…수익률도 14% ‘껑충’
  • 깜깜이 형사조정위원 선발…“합의 후 재고소” 등 부작용 우려도 [조정을 넘어 피해회복 '형사조정제도']
  • 베일 벗은 '삼식이 삼촌', 송강호 첫 드라마 도전에 '관심'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300,000
    • +6.3%
    • 이더리움
    • 4,180,000
    • +3.36%
    • 비트코인 캐시
    • 630,000
    • +4.22%
    • 리플
    • 719
    • +1.7%
    • 솔라나
    • 214,200
    • +6.41%
    • 에이다
    • 625
    • +3.48%
    • 이오스
    • 1,108
    • +3.55%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48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50
    • +5.04%
    • 체인링크
    • 19,160
    • +4.64%
    • 샌드박스
    • 606
    • +5.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