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TIGER 23-12 국공채액티브’ ETF 신규 상장

입력 2022-12-09 09: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거래소에 ‘TIGER 23-12국공채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9일 밝혔다.

TIGER 23-12국공채액티브 ETF는 시장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만기까지 보유하면 목표한 수익률을 실현할 수 있는 존속기한형 채권 ETF다. 국채와 통안채 및 AAA 등급 이상 특수채에 주로 투자하며, 약 4.49%의 만기 수익률을 추구한다. ETF 비교지수는 ‘KIS 국공채2312 만기형 지수’다.

존속기한형 ETF란 기존 ETF와 달리 만기가 있는 상품으로, 만기가 도래하면 상환금을 지급 한 후 해지되는 상품이다. TIGER 23-12국공채액티브 ETF의 존속 기한일은 내년 12월이다.

TIGER 23-12국공채액티브 ETF는 만기 전까지 추가 매수가 가능하며, 최초 상장 시점 대비 금리가 상승한다면 더 높아진 만기 수익률 수준으로 매수할 수 있다. 신규 투자자가 추가 매수하더라도 설정 시점의 시장 만기 수익률 수준으로 채권을 편입하기 때문에 기존 투자자의 수익률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상장 이후 금리가 하락하는 시기에는 중도 매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연금 계좌를 활용해 투자할 경우 다양한 절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TIGER 23-12국공채액티브 ETF는 ISA(중개형), 개인연금, 퇴직연금(DC, IRP) 계좌에서 거래 시 인출 시점까지 과세가 이연되고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어 연금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

또 주로 증권사를 통해 매수, 매도해야 하는 개별 채권 투자와 달리 TIGER 23-12국공채액티브 ETF는 주식처럼 쉽게 매수, 매도가 가능하다. ETF 거래 수수료가 개별 채권 대비 낮다는 것도 장점이다. ETF는 다양한 채권을 편입해 분산 투자가 가능하므로 주로 1~2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개별기업 고유 위험에 노출되는 개별 채권 투자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달 A+ 등급 이상의 회사채 종목에 주로 투자하는 ‘TIGER 24-10회사채(A+이상)액티브 ETF(447820)’를 출시했다. 이는 상장 이후 7거래일 만에 누적거래대금 1000억 원을 돌파해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강원 인제 산불 사흘만 재발화…확산 가능성은?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0: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43,000
    • -0.75%
    • 이더리움
    • 2,594,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2.53%
    • 리플
    • 3,220
    • -3.25%
    • 솔라나
    • 209,800
    • -2.19%
    • 에이다
    • 1,001
    • -1.86%
    • 이오스
    • 978
    • -1.71%
    • 트론
    • 351
    • -2.23%
    • 스텔라루멘
    • 400
    • -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5.69%
    • 체인링크
    • 21,000
    • -3.67%
    • 샌드박스
    • 418
    • -4.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