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도열병 방제 천연 농약 발견…"뚜껑덩굴 추출물로 최대 95% 억제"

입력 2022-11-1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뚜껑덩굴 추출물의 식물병 곰팡이 생장 억제 확인

▲뚜껑덩굴 서식 특성 (사진제공=환경부)
▲뚜껑덩굴 서식 특성 (사진제공=환경부)

벼 도열병의 생장을 막는 천연 농약이 발견됐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담수 식물인 뚜껑덩굴의 추출물에서 벼 도열병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능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벼 도열병은 자낭균문에 속하는 식물 기생 진균으로 벼의 생육 전 기간에 걸쳐 발병해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병해이다. 벼 도열병은 쌀 생산량의 주요 하락 원인으로 꼽히며 매년 도열병에 의한 벼 수확량의 감소는 10% 이상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뚜껑덩굴 추출물이 벼 도열병균의 균사 성장과 포자 발아를 억제하고 균체가 벼 내부로 침입하기 위해 만드는 특수한 구조체인 부착기(附着器) 형성을 억제해 항진균 효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 벼 도열병 억제 효능이 있는지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뚜껑덩굴 추출물이 벼 도열병균만 처리한 실험군에 비해 벼의 병반 형성을 최대 95%까지 억제했다.

뚜껑덩굴은 제비꽃목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제주도와 남부 지방에 분포하며 연못가 및 하천변 등 습도가 높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서식한다. 뚜껑덩굴의 열매는 ‘합자초(合子草)’로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약초로 활용됐다.

연구진은 뚜껑덩굴 추출물이 벼 도열병균 이외의 다양한 식물 병원성진균에 대한 항진균 효능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 이 식물의 추출물이 광범위 항진균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특허출원을 마쳤고, 관련 논문은 식물병 연구 분야 전문 국제 학술지인 식물 병리학회지(The Plant Pathology Journal) 12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류시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산업화지원센터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뚜껑덩굴 추출물이 벼 도열병을 비롯해 다양한 식물병의 천연 항진균제 및 친환경 농약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라며 "벼 도열병 방제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친 살해 '수능만점자' 의대생, 이미 신상털렸다…피해자 유족도 고통 호소
  • 긍정적 사고 뛰어넘은 '원영적 사고', 대척점에 선 '희진적 사고' [요즘, 이거]
  • 업종도 진출국도 쏠림 현상 뚜렷…해외서도 ‘집안싸움’ 우려 [K-금융, 빛과 그림자 中]
  • 김수현 가고 변우석 왔다…'선재 업고 튀어', 방송가도 놀라게 한 흥행 요인은? [이슈크래커]
  • 바이에르 뮌헨, 챔피언스리그 결승행 좌절…케인의 저주?
  • 트럼프 "바이든과 다르게 가상자산 적극 수용"…코인베이스 1분기 깜짝 실적 外 [글로벌 코인마켓]
  • 단독 서울시, '오피스 빌런' 첫 직권면직 처분
  • 5월 되니 펄펄 나는 kt·롯데…두산도 반격 시작 [프로야구 9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412,000
    • -1.32%
    • 이더리움
    • 4,149,000
    • -1.14%
    • 비트코인 캐시
    • 625,000
    • -2.8%
    • 리플
    • 716
    • -2.19%
    • 솔라나
    • 199,300
    • -2.4%
    • 에이다
    • 630
    • +2.27%
    • 이오스
    • 1,120
    • +1.36%
    • 트론
    • 176
    • +2.92%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00
    • -1.96%
    • 체인링크
    • 19,510
    • +0.46%
    • 샌드박스
    • 602
    • +0.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