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간선거 사전투표 참여자 수, 2018년 3910만 명 넘어...계속 집계 중

입력 2022-11-07 08: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5일 기준 4000만 명 이상 사전투표
2018년 사전투표 비율인 40%보다 더 높아질 전망
코로나19로 사전투표 계속 확대되는 추세

▲5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유권자들이 사전투표를 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샬럿(미국)/AFP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유권자들이 사전투표를 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샬럿(미국)/AFP연합뉴스

8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되는 올해 미국 중간선거 사전투표 참여자 수가 2018년 중간선거를 넘어섰다.

6일 NBC방송에 따르면 이날 오전 미국 전역에서 4000만 명 이상이 사전투표에 참여했다. 2018년 중간선거 사전투표 참여자 수는 3910만 명으로, 이미 전날 기준 올해 중간선거 사전투표 참여 규모는 이를 넘어섰다.

미국의 사전투표는 우편투표와 선거일 이전에 지정된 투표소로 찾아 투표하는 조기 현장 투표로 집계한다.

우편투표가 아직 진행 중인 데다 일부 주는 주말까지 현장 사전투표를 이어가는 만큼 참여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사전투표 참여율은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2014년 중간선거 당시 전체 투표의 약 31%가 사전투표였고, 2018년에는 그 비율이 40%로 늘었다. 올해는 사전투표가 이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전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사전투표 참여가 급증했다고 WP는 분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전투표에 나선 사람들이 계속 그 방법을 고수한다는 것이다.

2020년 대선에서 사전투표한 유권자는 1억 명 이상으로, 2016년 대선의 약 두 배 수준을 기록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극우 세력은 사전투표 중에서도 우편투표를 이유로 대선이 사기라는 음모론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대리 투표 의혹 등을 제기했다.

이에 일부 주는 사전투표 요건을 강화했다. 캘리포니아주와 네바다주, 버몬트주, 워싱턴D.C.에서는 현장 투표를 없애고 우편투표만 진행하고 있다.

민주당은 사전투표 음모론이 선거 당일 현장 투표가 어려운 흑인 또는 저소득층의 투표권을 제한한다며 비판해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3차 오물 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 휴일에도 비상근무
  •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 ‘경고등’…11년만에 최고
  • '그알' 태국 파타야 살인 사건, 피해자 전 여자친구…"돈 자랑하지 말랬는데"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정부, 9일 의협 집단휴진 예고에 총리 주재 대응방안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836,000
    • +0.09%
    • 이더리움
    • 5,193,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61,500
    • -3.08%
    • 리플
    • 697
    • -1.27%
    • 솔라나
    • 223,700
    • -2.4%
    • 에이다
    • 616
    • -1.75%
    • 이오스
    • 993
    • -2.84%
    • 트론
    • 161
    • +1.26%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900
    • -2.2%
    • 체인링크
    • 22,610
    • -2.08%
    • 샌드박스
    • 584
    • -4.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