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영국과 전통 군주제 통합 과제
다이애나비와의 이혼 등으로 인기 땅에 떨어져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서거로 큰아들 찰스 왕세자(74)가 64년간의 기다림 끝에 찰스 3세로 왕위에 오르게 됐다.
8일(현지시간) USA투데이에 따르면 9살이던 1958년 영국 왕세자(Prince of Wales)로 책봉된 찰스 3세는 최장수 왕세자로 자리를 지켜왔다. 찰스 3세는 일찌감치 왕세자로 낙점돼 자선활동, 환경보호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해왔지만 다이애나비와의 이혼 등으로 여왕에 비해 영국 국민들의 지지가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는 1948년 11월 14일 여왕과 남편 필립공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1952년 여왕이 즉위하면서 승계 1순위가 됐고, 거의 평생을 왕세자로서 즉위를 기다려왔다. 20대에 여왕이 된 그의 어머니와 달리 찰스 3세는 군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왕이 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평가했다.
찰스 3세는 케임브리지대를 나온 뒤 공군과 해군에 복무했다. 그는 자선, 환경, 기후 변화 관련 문제에서 변화를 만들기 위해 왕세자로서의 지위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 청년들을 돕기 위해 프린스트러스트 같은 자선단체를 만들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쟁점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과거 찰스 3세는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 관련 문제 등에 관해 영국 각 부처 장관들에게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그의 전기 ‘찰스 왕세자’를 쓴 샐리 베델 스미스 작가는 “왕세자로서 그는 그의 어머니처럼 헌법적 경계에 얽매이기보다 경계를 넘더라도 왕이 될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고 싶어했다”며 “그는 그를 있게 한 제도와 전통을 포함해 자선 사업, 기업가적 계획 등 새로운 시도를 계속했다”고 말했다.
그의 노력에 긍정적인 평가도 나오지만 적극적인 개입을 리스크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여왕은 정부와 국민 사이에 절묘한 균형을 유지하며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원칙을 지켜왔기 때문이다.
여왕은 최근 10년 동안 찰스 3세의 승계에 대비해 군주로서의 역할을 점차적으로 물려줬고, 그는 고령으로 건강이 불편해진 여왕을 대신해 역할 대행을 늘려왔다. 올해는 처음으로 의회 ‘여왕 연설(Queen's speech)’이라는 헌법적 역할을 수행했다.
찰스 3세가 헤쳐가야 할 리스크들도 존재한다. 다이애나비와의 이혼으로 어머니보다 인기가 작은 것도 하나의 난관이다. 1981년 다이애나비와 결혼한 찰스 3세는 윌리엄과 해리 왕자 두 아들을 낳았지만 1996년 이혼했다. 다이애나비의 인기는 영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뜨거웠지만 찰스 3세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다이애나비가 BBC 인터뷰에서 남편이 결혼 전 사귀었던 커밀라 파커 볼스와 불륜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큰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후 다이애나비가 프랑스 파리에서 파파라치에게 쫓기다가 교통사고로 숨지자 다이애나비 추모 열기가 끓어오르는 만큼 찰스 3세를 향한 부정적인 여론이 커졌다. 찰스 3세는 2005년 커밀라와 결혼했고, 이후로도 영국인의 마음을 완전히 다시 사지 못하고 있다.
영국이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운 시기를 맞은 가운데 호감도가 떨어지고 나이 많은 왕이 등장하면서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또 알카에다 수장 오사마 빈 라덴 가족과 사우디 기업인 등으로부터 거액의 기부금을 받아서 자신이 후원하는 자선단체에 보낸 점이 드러나 논란이 된 적도 있다. 이 과정에 측근이 훈장 수여를 알선한 일도 있었다.
젊은 세대로 갈수록 군주제에 관심이 없어지는 분위기도 걸림돌이다. WSJ는 찰스 3세가 현대 영국을 반영하면서도 고대 전통을 유지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한 자리를 물려받았다고 설명했다. 그의 측근들은 국민 생활을 중심에 두는 왕실을 구상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찰스 3세 형제로 앤 공주, 앤드루 왕자, 에드워드 왕자가 있지만, 다음 승계 순위는 찰스 3세의 아들인 윌리엄 왕세자와 그의 자녀들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