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10년 만에 최소…하우스푸어 사태 재현되나

입력 2022-07-18 13: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용산구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이투데이DB)
▲서울 용산구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이투데이DB)

올해 들어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수가 ‘하우스 푸어’(House Poor·내 집 빈곤층) 위기감이 고조됐던 2012년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하우스푸어는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출에 따른 과다한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생활고를 겪는 가구를 말한다.

1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생애 처음으로 집합건물(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등)을 구매한 매수인은 16만8713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2012년(16만1744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수치다.

2012년은 하우스푸어 위기가 한창 고조됐던 시기다. 당시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5∼6%대로 치솟으며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부담이 커졌었다. 금융당국은 2013년 하우스푸어 구제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상반기 기준 생애 최초 집합건물 매수인은 집값이 급등했던 지난해(28만4815명)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작년보다 40% 이상 감소했다. 월별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인 수도 1월(3만521명) 이후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지난달(2만6356명)에는 올해 최소치를 기록했다.

생애 최초 집합 건물 매수인 수가 1년 만에 급감한 이유는 대출규제와 금리 인상, 집값 고점 인식 등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행은 13일 기준금리를 1.75%에서 2.25%로 0.50%포인트(p)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빚투’(빚내서 투자)로 대출을 상한선까지 받아 내 집을 마련한 2030 세대의 고통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2년 하우스푸어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현재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월 말 기준 연 3.90%, 신규 주담대 금리가 연 4.7~4.8%인데 한국은행의 빅스텝으로 하반기에 금리가 더 오르면 연 5%를 곧 넘을 것”이라며 “주택담보대출을 갚는데 소득을 지출하면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고,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심각한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무대를 뒤집어 놓으셨다…'국힙원탑' 민희진의 기자회견, 그 후 [해시태그]
  • [유하영의 금융TMI] 위기 때마다 구원투수 된 ‘정책금융’…부동산PF에도 통할까
  • 피해자 부모가 오히려 탄원서를…다양한 ‘합의’의 풍경 [서초동MSG]
  • 한화그룹, 우주항공·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미래 신규 사업 발굴 [R&D가 경쟁력]
  • '돈가뭄' 시달리는 건설사…은행 건설업 연체율 1% 넘었다
  • 단독 광주·대구 회생법원 신설 추진…전국 5대 권역 확대 [기업이 쓰러진다 ㊤]
  • 드라마 '눈물의 여왕' 마지막화…불사조 김수현, 김지원과 호상 엔딩
  • 잠자던 '구하라법', 숨통 트이나…유류분 제도 47년 만에 일부 '위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300,000
    • -1.27%
    • 이더리움
    • 4,668,000
    • -0.49%
    • 비트코인 캐시
    • 672,500
    • -2.25%
    • 리플
    • 731
    • -2.14%
    • 솔라나
    • 197,300
    • -3.28%
    • 에이다
    • 658
    • -2.37%
    • 이오스
    • 1,129
    • -3.09%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60
    • -3.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100
    • -2.54%
    • 체인링크
    • 19,750
    • -3.94%
    • 샌드박스
    • 641
    • -2.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