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정부 출범 이후 경기 아파트 평균 매매가 99%↑…성남시 1위

입력 2022-03-31 10: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성남시, 131% 상승…경기 지역 신고가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 상위 10곳. (자료제공=경제만랩)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 상위 10곳. (자료제공=경제만랩)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경기도에서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시(市)는 ‘성남시’로 나타났다.

3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인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 2017년 5월 성남시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59만 원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4767만 원으로 131.5% 상승했다.

이어 수원시 아파트는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같은 기간 1270만 원에서 2724만 원으로 114.5% 상승률을 보였고, 용인시는 1276만 원에서 2652만 원으로 107.7% 올랐다. 구리시도 1478만 원에서 3042만 원으로 105.8%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기 지역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17년 5월 1276만 원이었지만, 이달 2544만 원으로 집계돼 문 정부 출범 이후 99.4% 상승률을 보였다.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분당파크뷰’의 경우 2006년 부동산 매매 실거래가 신고제 도입 이후 경기에서 가장 높은 금액에 거래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분당구 정자동의 ‘분당파크뷰’ 전용면적 244㎡형은 지난달 3일 48억 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해당 면적의 직전 실거래는 2017년 9월 30억7000만 원으로 17억3000만 원 올랐다.

수원 영통구 이의동에 있는 ‘자연앤힐스테이트’ 전용 84㎡형은 2017년 5월 7억 원에 거래됐다. 하지만 이달 6일에는 해당 아파트 동일면적이 14억6000만 원에 거래가 이뤄져 7억6000만 원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현 정부가 뒤늦게 주택공급 확대 정책으로 선회했지만, 임기 내에 재개발·재건축 관련 규제로 주택 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집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관련 규제를 완화해 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중갈등ㆍ관세전쟁, ‘ESG 경영’ 난관…전문가들 지속가능 전략 모색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팅커벨 출몰…2025버전 동양하루살이 전쟁 발발 [요즘, 이거]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입덕 계기? '고잉 세븐틴' 봤어요"…요즘 아이돌은 '자컨'으로 말한다 [엔터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579,000
    • -0.31%
    • 이더리움
    • 3,737,000
    • +1.03%
    • 비트코인 캐시
    • 578,000
    • -0.17%
    • 리플
    • 3,198
    • +0.03%
    • 솔라나
    • 238,600
    • -1.12%
    • 에이다
    • 1,041
    • -1.14%
    • 이오스
    • 1,036
    • -1.71%
    • 트론
    • 387
    • +1.31%
    • 스텔라루멘
    • 399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00
    • -0.39%
    • 체인링크
    • 21,760
    • -1.63%
    • 샌드박스
    • 426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