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무실 후보지 답사한 尹당선인 인수위…광화문·용산 중 선택은

입력 2022-03-18 17:11 수정 2022-03-18 17: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권영세 "이전에 따른 애로사항 들어…당장 해드릴 얘기 없어"
이전 시점 등에 대해선 "밝힐 수 없어" 말 아껴
국방부 안보 공백 지적엔 "당연히 고려해야 할 문제"
논란 속에도 尹당선인 의지 강해…"청와대 가능성 제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사진은 외교부 청사(왼쪽), 국방부 청사의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사진은 외교부 청사(왼쪽), 국방부 청사의 모습. (연합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8일 윤석열 당선인 집무실 후보지인 광화문 외교부와 용산 국방부 청사를 방문하며 '집무실 이전' 프로젝트에 속도가 붙었다. 다만, 인수위 관계자들이 그 어떤 의견도 내비치지 않아 아직까진 최종 결정지를 가늠할 수 없다. 또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집무실을 반드시 옮겨야 한다는 윤 당선인의 취지와 달리 여전히 이전 비용·교통 혼잡 및 주민 피해 등에 대한 우려감도 크다.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 원희룡 기획위원장 및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들은 이날 오후 외교부가 입주한 서울 광화문의 정부서울청사 별관과 용산 국방부 청사를 찾았다.

앞서 윤 당선인과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당선인 비서실 관계자 등은 전날 회의를 열어 청와대 이전 후보지를 두 군데로 압축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어제 세 군데서 두 군데로 압축하는 의사 결정 과정에 있었다. 보다 국민께 불편 끼쳐드리지 않으며 생활 편의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부분, 대통령 경호 보안, 무엇보다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비서관과 격의 없이 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는 두 군데가 더 나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방문단에는 권 부위원장과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 원희룡 기획위원장, 김성한 전 외교부 2차관과 김태효 전 청와대 대외전략기획관 등 외교안보 분과 위원들,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등 기획조정 분과 위원들이 포함됐다.

방문단은 우선 정부서울청사 별관을 찾아 외교부 전산 시설과 2층 대강당, 외교부 17층과 리셉션 홀이 있는 18층 등을 40여 분간 둘러봤다.

외교부가 입주한 정부서울청사 별관은 외교통상 전문 단독 청사의 필요성에 따라 2002년 준공한 곳으로 전 세계 재외공관 약 170곳의 보고를 받고 지시를 내릴 수 있는 외교통신망이 갖춰져 있다.

대통령 집무실을 이곳으로 이전할 경우, 외교부 역시 청사를 옮겨야 해 외교통신망이 최소 3∼4주간 중단될 수 있다. 이는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 간 소통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인수위 관계자들은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볼 예정인가’, ‘언제 (집무실 이전지를) 결정하느냐’ 등 취재진의 질문에 “개인 의견을 밝힐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권영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18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인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권영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18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인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어 방문단은 국방부 청사로 이동했다. 권 부위원장은 국방부를 둘러본 후 기자들과 만나 '방문 취지'에 대해 "집무실 이전에 따른 애로사항 등을 상세하게 듣기 위한 것으로 당장 해드릴 얘기는 없다"고 답했다.

특히 중점적으로 살펴본 부분에 대해선 "청와대가 아무래도 국정의 중심이다보니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지 여부, 해당 부처 업무 연속성, 비용 문제, 주민들의 불편 여부 등을 전반적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초 대통령 집무실 후보는 용산 국방부가 유력했다. 주변에 높은 빌딩이 많지 않아 경호·보안에 유리한 뿐 아니라 국가 안보 위기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국방부 이전에 대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국방부 영내에는 군 주요 시설이 밀집된 만큼 일반 국민 출입이 통제돼 있어 애초 집무실 이전 취지인 ‘국민과의 소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군 지휘부 시설을 옮길 시 안보 공백이 생길 가능성도 크다. 육군 장성 출신인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등은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로 이전하게 되면 국방부와 합참의 많은 부서와 시설본부 등이 업무를 중지하고 3월 말까지 이사를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 미사일 발사 등 안보 위협이 가중돼 대비 태세 유지에 집중하고 실시간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데 부대 전 장병이 이사 준비를 하는 현실에 참담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권 부위원장은 "안보 공백, 이전에 대한 불편 등은 당연히 고려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로 이전해도 걸림돌은 있다. 외교부 청사는 경호·교통에 취약하다. 또 인수위 검토 결과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동 등을 전부 이전하기엔 외교부 청사 공간도 부족하다. 이렇게 되면 기존 청와대 시설을 50% 이상 사용해야 해 '청와대를 국민에게 환원하겠다'는 공약 실천도 어려워진다. 설상가상으로 이 경우 외교부가 다른 건물을 새로 빌려야 하고, 추가 비용도 발생한다.

이에 임태희 대통령 당선인 특별고문은 이날 전날 CBS 라디오에서 “시기를 정해놓고 추진하는 것은 매우 무리가 따를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 국정에 중요한 게 뭔가 국민 여론을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논란이 커지자 이날 CBS 라디오에선 "다급하게 추진할 일이 아니다. 민생 문제가 더 시급하다. 우선순위를 점검해야 한다"고 수습에 나서기도 했다.

그럼에도 윤 당선인은 집무실 이전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매 브리핑마다 "윤 당선인이 기존 청와대로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0)’”라고 강조했으며 이날 브리핑에선 “봄꽃이 지기 전에는 국민 여러분께 청와대를 돌려드리겠다. 국민 여러분께서는 아름다운 산책길을 일상 회복하는 날에 거닐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대 팬이 물병 투척…급소 맞은 기성용
  • '프로야구 우천취소' 더블헤더 경기, 두 번 다 관람 가능?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BTS 정국부터 OJ 심슨까지…“억” 소리 나는 車경매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58,000
    • -2.46%
    • 이더리움
    • 4,099,000
    • -2.96%
    • 비트코인 캐시
    • 607,000
    • -3.27%
    • 리플
    • 711
    • -0.7%
    • 솔라나
    • 204,000
    • -4.49%
    • 에이다
    • 626
    • -2.95%
    • 이오스
    • 1,105
    • -4.41%
    • 트론
    • 179
    • +1.7%
    • 스텔라루멘
    • 150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3.87%
    • 체인링크
    • 19,080
    • -4.07%
    • 샌드박스
    • 599
    • -3.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