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확진자 증가세 지속…위중증환자는 보름여 만에 300명 넘어

입력 2022-02-14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발생 5만4513명, 해외유입 106명 등 5만4619명 신규 확진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 폭증에 재원 중 위중·중증환자가 보름여 만에 다시 300명을 넘어섰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만461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국내발생이 5만4513명, 해외유입은 106명이다.

국내발생은 지역별로 서울(1만1595명), 인천(3576명), 경기(1만5866명) 등 수도권(3만1037명)에 집중됐다. 부산(3520명), 울산(676명), 경남(2794명) 등 경남권(6990명)과 대구(2606명), 경북(1906명) 등 경북권(4512명), 광주(1536명), 전북(1585명), 전남(1259명) 등 호남권(4380명), 대전(1613명), 세종(351명), 충북(1541명), 충남(2493명) 등 충청권(5998명)의 확산세도 여전하다. 강원권(1087명)도 신규 확진자가 1000명을 넘어섰다. 제주권의 신규 확진자는 509명이다.

가파른 확산세에 재원 중 위·중증환자는 306명으로 전날보다 18명 늘었다. 재원 중 위·중증환자가 300명을 넘어선 건 지난달 28일(316명) 이후 17일 만이다. 사망자는 21명 추가됐다. 여기에 재택치료 대상자도 급증세다. 이날 0시 기준으론 23만2086명이다.

권덕철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현재 집중관리군은 20만 명의 관리대상여력이 있는데, 이 중 7만 명 정도가 지금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집중관리군은 7233명이다.

해외유입은 검역 단계에서 40명, 지역사회 격리 중 66명이 확인됐다.

예방접종 인원은 1차 접종자가 331명, 2차 접종자는 536명, 3차 접종자는 8100명 추가됐다.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이 87.2%, 2차 접종은 86.2%, 3차 접종은 57.3%다. 18세 이상 성인은 66.4%가 3차 접종을 마쳤다.

권 차관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대응체계가 현장에서 차질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달 말까지 자가검사키트 3000만 명분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온라인 판매 대신 약국과 편의점에서 1인당 최대 5개까지 구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월 말부터 면역 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입소자들에 대한 4차 접종을 계획하고 있다”며 “재택치료 중심의 새로운 방역·의료체계 전환에 대한 마스크 쓰기, 주기적 환기, 예방접종 맞기 등 기본 방역주칙 준수에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부탁한다”고 덧붙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트럼프 틱톡, 개설 사흘 만에 팔로워 500만…35만 바이든 캠프 압도
  • 현충일 ‘초여름 더위’ 지속…전국 곳곳 소나기 소식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01,000
    • +2.37%
    • 이더리움
    • 5,268,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3.96%
    • 리플
    • 728
    • +0.69%
    • 솔라나
    • 240,000
    • +4.21%
    • 에이다
    • 640
    • +0.95%
    • 이오스
    • 1,120
    • +1.82%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00
    • +2.82%
    • 체인링크
    • 24,850
    • +1.1%
    • 샌드박스
    • 644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