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밥캣, 3분기 영업익 1296억…전년比 16.5%↑

입력 2021-10-29 16: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 분기 연속 '10년 내 최대 분기 매출' 경신

▲두산밥캣 소형 건설장비인 '스키드 스티어로더(SSL)'.  (사진제공=두산밥캣)
▲두산밥캣 소형 건설장비인 '스키드 스티어로더(SSL)'. (사진제공=두산밥캣)

두산밥캣은 3분기 영업이익이 1296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5% 늘었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액은 1조5463억 원으로 42.5%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재료비와 물류비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의 영향으로 1.9%포인트(p) 하락한 8.3%를 기록했다.

특히, 두산밥캣은 올해 1분기 10년 내 최대 분기 매출액을 기록한 뒤 2분기와 3분기에도 전 분기 대비 매출액이 각각 4.8%, 20.5%씩 커지면서 세 분기 연속 신기록을 이어갔다.

두산밥캣의 기능통화인 달러화를 기준으로는 3분기 매출액 13억4100만 달러(지난해보다 +47.0%), 영업이익 1억1100만 달러(지난해보다 +19.3%)를 기록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5억8500만 달러, 영업이익은 3억9000만 달러로 지난해 연간 매출액의 99%, 영업이익의 117%를 달성했다.

두산밥캣(두산산업차량 제외)은 3분기 전 지역에서 고른 성장을 보였다.

북미 지역에서는 경기 회복과 GME(농경 및 조경장비) 제품군 판매 호조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3.1%(이하 달러 기준) 성장했다. 공급망 병목현상에 따른 어려움에도 경기회복세가 이어지면서 GME 매출이 32.8% 늘었고, 로더와 미니굴착기 매출도 30.2% 증가했다.

EMEA(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은 공격적인 영업활동과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보다 17% 성장했다. ALAO(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에서도 오세아니아와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경기 부양책에 따른 수요 증가로 26.2% 성장했다.

한편, 7월 두산밥캣의 자회사로 편입된 두산산업차량은 시장점유율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내수 시장을 비롯해 북미,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 호조를 보이면서 3분기 매출액 2558억 원을 기록했다.

2019년 6% 수준이던 북미에서의 엔진식 지게차 시장점유율은 올 3분기 기준 11%를 넘겼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뺑소니까지 추가된 김호중 '논란 목록'…팬들은 과잉보호 [해시태그]
  • 높아지는 대출문턱에 숨이 ‘턱’…신용점수 900점도 돈 빌리기 어렵다 [바늘구멍 대출문]
  • "깜빡했어요" 안 통한다…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땐 '이것' 꼭 챙겨야 [이슈크래커]
  • 단독 대우건설, 캄보디아 물류 1위 기업과 부동산 개발사업 MOU 맺는다
  • 하이브 "민희진, 투자자 만난 적 없는 것처럼 국민 속여…'어도어 측' 표현 쓰지 말길"
  • 어린이ㆍ전기생활용품 등 80개 품목, KC 인증 없으면 해외직구 금지
  • 단독 위기의 태광그룹, 강정석 변호사 등 검찰‧경찰 출신 줄 영입
  • 막말·갑질보다 더 싫은 최악의 사수는 [데이터클립]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920,000
    • -0.66%
    • 이더리움
    • 4,090,000
    • -2.46%
    • 비트코인 캐시
    • 619,000
    • -4.18%
    • 리플
    • 719
    • -0.14%
    • 솔라나
    • 221,500
    • +1.93%
    • 에이다
    • 633
    • +0.48%
    • 이오스
    • 1,115
    • +0.45%
    • 트론
    • 174
    • -1.14%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1.86%
    • 체인링크
    • 20,820
    • +7.93%
    • 샌드박스
    • 603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