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종사자 감소 개선됐지만…갈 길 먼 고용 회복

입력 2021-03-30 13:38 수정 2021-03-30 17: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재정 일자리가 고용개선 주도...숙박음식ㆍ제조업 고용부진 여전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하향 등으로 인해 전달대비 감소 폭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달에도 고용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지만, 단기 일자리인 재정 일자리가 고용개선을 주도하고 있어 실질적인 고용 회복은 갈 길이 먼 상황이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021년 2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831만9000명으로 전년대비 17만 명(-0.9%) 줄어 1년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전달(-35만1000명)과 비교해 감소 폭이 절반 정도로 축소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지난달 거리두기 완화 조치와 전년동월의 증가폭이 축소된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종사자 감소폭이 전달대비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산업별로 보면 코로나19 고용충격을 고스란히 받는 숙박·음식업 위주로 감소세가 지속했다. 지난달 숙박·음식업 종사자 수는 전년대비 16만2000명 줄면서 1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전달(-24만 명) 대비로는 크게 개선됐다. 8개월째 7만 명대를 지속해온 제조업 종사자 감소 폭도 수출 개선세 지속 등으로 6만8000명으로 축소됐다.

특히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만4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만2000명), 공공행정(+3만5000명)의 경우 재정 일자리 개시 영향 등으로 종사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재정 일자리가 지난달 종사자 감소 폭 개선을 이끈 것이다.

고용부는 지난달부터 시작된 백신접종과 수출 개선세 지속 등으로 이달에도 고용상황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달을 기점으로 고용 회복세가 가시화할 것이란 진단이다.

그러나 여전히 실질적인 고용 회복은 갈 길이 멀다. 올해 정부의 재정일자리 사업 본격화로 당분간 일자리가 늘겠지만 대부분 단기적인 일자리에 불과하고, 고용 회복 신호탄이 될 숙박·음식업과 제조업의 고용 부진은 계속되고 있어서다. 고용이 안정된 상용직 근로자의 감소세가 몇 개월째 지속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편 올해 1월 상용직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월평균)은 387만7000원으로 전년대비 21만5000원(5.2%) 줄었다.

지난해의 경우 설 명절 상여금이 1월에 지급됐지만, 올해는 2월에 지급된 데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사태도 임금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총액은 408만7000원으로, 25만3000원(5.8%) 감소했지만 임시·일용직은 171만4000원으로, 9만6000원(5.9%) 증가했다.

임시·일용직 임금의 증가는 코로나19 사태로 숙박·음식업 등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업종에 속하는 임시일용직의 다수가 일자리를 잃은 여파라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즐거우세요?” 밈으로 번진 방시혁-민희진 내분…‘하이브 사이비’ 멱살 잡힌 BTS [해시태그]
  • 단독 부산‧광주‧대구 ‘휘청’…지역 뿌리산업 덮친 ‘회생‧파산 도미노’
  • '겨드랑이 주먹밥' 등장한 일본…10배나 비싸게 팔리는中
  • 홍콩은 거래 시작인데…美 이더리움 현물 ETF는 5월 승인 ‘먹구름’
  • HLB, 간암 신약 美FDA 허가 초읽기…‘승인 확신’ 이유는?
  • ‘휴진’ 선언한 서울대병원…우려한 진료 차질 없어 [가보니]
  • “주담대 선택할 땐 금리가 가장 중요…고정금리 선호도 올라”
  • 산은이 '멱살' 잡고 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D-데이'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619,000
    • -3.68%
    • 이더리움
    • 4,288,000
    • -5.36%
    • 비트코인 캐시
    • 617,000
    • -6.52%
    • 리플
    • 714
    • -2.86%
    • 솔라나
    • 179,300
    • -7.1%
    • 에이다
    • 624
    • -4%
    • 이오스
    • 1,091
    • -4.88%
    • 트론
    • 172
    • +1.78%
    • 스텔라루멘
    • 153
    • -4.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50
    • -7.65%
    • 체인링크
    • 18,690
    • -5.7%
    • 샌드박스
    • 590
    • -6.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