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GS건설 손잡고 스마트건설 기술 검증 성공

입력 2021-03-11 10: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스마트건설 솔루션, 연내 상용화 계획

▲LG유플러스 관계자들이 공사현장에서 실시간위치추적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관계자들이 공사현장에서 실시간위치추적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GS건설과 함께 인공지능(AI)ㆍ무선통신 인프라를 건설 현장에 적용한 스마트건설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건설 현장에서 24시간 사고 예방 시스템을 가동해 작업자의 안전이 향상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LG유플러스는 이 시스템을 연내 스마트건설 솔루션 상용화를 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부터 서울 서초구 서초동 GS건설의 ‘서초그랑자이’ 건설현장을 시범 현장으로 선정해 △건설현장 특화 무선통신 △실시간 근로자 위치 확인 △AI 영상분석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타워크레인 안전 솔루션 △IoT 헬멧 등을 실증했다. 실시간으로 근로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실시간위치추적시스템)’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동ㆍ층ㆍ호수 단위까지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안전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AI 기술과 무선통신 인프라로 건설 현장 곳곳에 CCTV를 설치하고, CCTV로 확보한 영상에서 근로자의 상태 및 움직임과 중장비의 이동 등을 AI로 분석할 수 있다.

사고 시 위험도가 높은 타워크레인 작업의 안전 확보를 위한 솔루션도 도입했다. 크레인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해 충돌 예측 거리를 확인하고, 충돌 위험시 무선통신으로 실시간 자동 알림으로 경고하는 등 타워크레인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CCTV 사각지대 및 긴급 상황 발생 시 현장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IoT 헬멧’은 근로자 헬멧에 장착된 카메라와 무전기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 신속한 상황 대처가 가능하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신사업개발담당 상무는 “5G, AI 등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스마트건설 안전 솔루션을 준비해 더욱 안전한 건설 현장을 만들기를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만족하게 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456,000
    • -0.35%
    • 이더리움
    • 3,048,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495,500
    • +0.69%
    • 리플
    • 3,609
    • -0.61%
    • 솔라나
    • 211,800
    • +1.05%
    • 에이다
    • 1,101
    • +1.19%
    • 이오스
    • 847
    • +0.47%
    • 트론
    • 336
    • -0.59%
    • 스텔라루멘
    • 43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50
    • +0.39%
    • 체인링크
    • 22,770
    • +1.74%
    • 샌드박스
    • 453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