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쿼드 가입할까…“바이든 정권에서 가능성 커져”

입력 2021-03-10 0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 국무부, 관련 질문에 “한국과 많은 공통된 이해관계 공유”
더힐 “한국, 바이든 대북 정책 함께 하기 위해 가입 고민 중”

▲지난해 10월 6일 일본 도쿄에서 쿼드 4개국 회담에 참석한 각국 외교장관들이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다. 도쿄/AP뉴시스
▲지난해 10월 6일 일본 도쿄에서 쿼드 4개국 회담에 참석한 각국 외교장관들이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다. 도쿄/AP뉴시스
미국 정권이 교체되면서 한국의 쿼드(QUAD) 가입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쿼드가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에 집중했다면,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는 대북 전략을 포함한 광범위한 목적으로 재설정된 영향이다.

9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언론 브리핑에서 “한국이 인도-태평양에서 북한의 핵 도전과 항해의 자유 등 많은 공통된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발언은 한국이 쿼드에 가입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한 물음에서 나왔다.

쿼드는 미국과 일본, 인도, 호주 등 4개국 간 협의체로, 남중국해 이슈 등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됐다. 최근 북핵 문제가 바이든 정부의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면서 한국을 협의체에 포함하는 이른바 ‘쿼드 플러스’도 세간의 관심을 얻고 있다.

이번 미 국무부의 발언에 쿼드 가입에 대한 직접적인 입장은 없었지만, 현지에서는 한국의 참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 전문매체 더힐은 “문재인 정부는 한미 동맹 의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바이든 정부의 대북 정책에 영향을 끼치기 위해 쿼드에 가입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한국은 트럼프 정부 시절 반중국 협의체인 쿼드에 가입할 의사가 없었다”며 “하지만 바이든 정부는 쿼드를 공통된 이익을 가진 국가그룹으로 확장하기를 원해 문 정부와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외교 전문지 디플로맷은 “트럼프 정부는 임기 내내 중국을 어떻게 다룰지에 대해 한국과 충돌했다”며 “중국은 한국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만큼, 한국의 쿼드 참여를 확신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호중 소속사 대표 "운전자 바꿔치기 내가 지시"…김호중 대리 출석 녹취는?
  • 높아지는 대출문턱에 숨이 ‘턱’…신용점수 900점도 돈 빌리기 어렵다 [바늘구멍 대출문]
  • [노벨상 선진국 호주下] R&D 예산 GDP 0.5%인데…기초과학 강국 원동력은
  • AI 패권 도전한 日, 라인야후 사태 불 지폈다
  • 도마 오르는 임대차법, 개편 영향은?…"전세난 해소" vs "시장 불안 가중"
  • 中 본토 투자자 ‘거래 불가’…홍콩 가상자산 현물 ETF 약발 ‘뚝’
  • 동대문구 용두동 화재 하루 만에 진화…21시간 30분만
  • 거인군단 '안경 에이스' 박세웅에 내려진 특명 "4연패를 막아라"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13: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845,000
    • +4.6%
    • 이더리움
    • 4,151,000
    • +2.04%
    • 비트코인 캐시
    • 632,500
    • +4.81%
    • 리플
    • 715
    • +1.56%
    • 솔라나
    • 224,900
    • +11.78%
    • 에이다
    • 638
    • +5.98%
    • 이오스
    • 1,106
    • +3.36%
    • 트론
    • 172
    • -1.71%
    • 스텔라루멘
    • 148
    • +2.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250
    • +4.18%
    • 체인링크
    • 19,240
    • +6.3%
    • 샌드박스
    • 606
    • +5.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