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징계위' 외부위원 2명 불참…'공정성' 논란일 듯

입력 2020-12-10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윤석열 검찰총장의 징계위원회 외부위원 3명 중 2명이 불참 의사를 밝히면서 파행 가능성이 제기된다. 강행되더라도 징계 의결의 공정성 문제가 불거질 전망이다.

10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외부위원 3명 중 2명이 징계위원회 심의에 불참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법사위원인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외부위원 세 분 중 한 분이 징계위에 참여하겠다고 밝혔고 두 분은 회의에 참여하기 어렵다고 했다”며 “회의 불참을 얘기한 분 중 한 분이 사퇴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절차적 정당성이 중요하고 윤석열 총장 측에서 여러 가지 요구하는 것들이 많이 있어 그런 것을 고려하면 오늘 결론을 내리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불참하기로 한 외부위원 대신 회의에 참석할 예비위원 2명을 구하는 작업이 어려울 경우 심의를 통해 징계 의결이 되더라도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수 있다.

검사징계법에 따르면 징계위는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과반수가 출석한 경우에 심의를 개시할 수 있게 돼 있다. 심의에 관여할 수 없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제외하고 당연직인 이용구 법무부 차관과 지명된 검사 2명에 외부위원 1명만 출석하면 심의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검사징계법상 징계위는 사건심의를 마치면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징계를 의결한다. 극단적으로 4명만 참여한 경우 3명이 찬성하면 윤 총장의 징계를 의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공정성·정당성 문제가 남는다. 해임 등 중징계가 예상되는 가운데 사상 초유의 검창총장 징계를 최소인원으로 결정했다는 비판이 예상된다.

윤 총장 측은 중징계 결정이 나오면 집행정지 등 행정소송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법정공방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를 강하게 지적할 전망이다.

한편 윤 총장 측은 이날 징계위에서 이용구 차관 등에 대해 기피신청을 할 방침이다. 추 장관이 지명하는 검사 2명에 심재철 법무부 검찰국장, 이종근 대검 형사부장 등이 포함될 때도 즉각 기피신청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검사징계법상 출석위원의 과반이 동의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기피신청이 받아들여질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640,000
    • -0.17%
    • 이더리움
    • 5,318,000
    • +0.83%
    • 비트코인 캐시
    • 686,000
    • +2.08%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38,600
    • -1.08%
    • 에이다
    • 638
    • -0.16%
    • 이오스
    • 1,099
    • -1.88%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8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50
    • -0.68%
    • 체인링크
    • 24,130
    • -1.79%
    • 샌드박스
    • 664
    • +1.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