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은 4인 가구가 가장 많고 흑자액은 3인 가구 최다

입력 2020-12-09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지원 등 이전소득 5인 이상 가구 69만 원 가장 많아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이투데이DB)
▲서울 영등포구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이투데이DB)
올해 3분기 월평균 소득은 4인 가구가 720만7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소득에서 가계지출을 뺀 흑자액은 3인 가구가 183만2000원으로 많았다. 정부 지원금 등 이전소득은 5인 가구가 69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9일 통계청 가계동향에 따르면 3분기(7~9월) 도시근로자 4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720만7000원으로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았다. 1인 가구는 302만9000원, 2인 가구는 451만8000원, 3인 가구는 614만6000원이다.

그러나 5인 이상 가구 소득은 687만1000원으로 4인 가구보다 오히려 낮았다.

통계청은 5인 이상 가구부터는 아이나 노인 등 부양가족이 더 많아 가구 소득이 4인 가구보다 적게 나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지원금 등 이전소득은 5인 이상 가구가 69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가구 59만9000원, 3인 가구 57만2000원, 4인 가구 41만7000원, 1인 가구 22만1000원이었다.

지출은 가구원 수가 늘어날수록 증가했다. 1인 가구 218만 원, 2인 가구 318만 원, 3인 가구 431만5000원, 4인 가구 554만1000원, 5인 이상 가구 556만6000원이었다.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은 4인 가구가 158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5인 이상 가구 151만6000원, 3인 가구 124만6000원, 2인 가구 88만7000원, 1인 가구 63만7000원이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인 가구가 562만4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인 이상 가구 535만5000원, 3인 가구 490만 원, 2인 가구 363만1000원, 1인 가구 239만1000원이었다.

소득에서 가계지출을 뺀 흑자액은 3인 가구가 183만2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인 가구 166만6000원, 2인 가구 133만8000원, 5인 이상 가구 130만5000원, 1인 가구 84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17,000
    • +1.37%
    • 이더리움
    • 5,251,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664,000
    • +1.84%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39,200
    • +3.86%
    • 에이다
    • 636
    • +0%
    • 이오스
    • 1,115
    • +0.36%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50
    • +1.98%
    • 체인링크
    • 24,420
    • -0.53%
    • 샌드박스
    • 654
    • +3.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