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전환대출 MBS 20조원 발행, 은행권 수요 구축 우려

입력 2019-12-13 07: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8년 발행 기준 고려한 MBS 발행 추정 규모 (자료 유진투자증권)
▲2018년 발행 기준 고려한 MBS 발행 추정 규모 (자료 유진투자증권)
20조 원 규모의 안심전환대출 관련 MBS가 은행권의 수요 구축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시중의 이자율을 상승시켜 민간 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키는 현상을 ‘구축 효과(crowding-out effect)’라 한다. 시중은행들이 MBS를 사기 위해 국채나 금융채, 회사채를 파는 수요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다.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12월부터 안심전환대출관련 20조 원의 MBS가 발행된다. 2015년 발행된 안심전환대출관련 MBS를 고려할 때 10년 이상 물이 7조8000억 원에 달한다. 과거 주택금융공사는 안심전환대출관련 MBS를 2주 간격으로 3조 5000억 원 내외를 발행했다. 이를 반영하면 월간 7조 원 내외의 MBS가 발행된다.

문제는 은행들이 이를 사들이기 위해 다른 크레딧물을 팔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2015년도 MBS 발행 시 은행권은 MBS 인수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채, 금융채, 회사채 등 다른 채권을 대량으로 팔았다. 실제 2015년 2분기 중 은행권의 유동화 증권 투자가 16조 3000억 원 증가했지만 국채(-6조 3000억 원), 금융채(-4조 8000억 원), 회사채(7000억 원) 등의 투자는 11조7000억 원이나 감소했다. 은행권의 MBS 인수가 다른 채권의 수요를 구축했고, 이는 금리 상승 교란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진투자증권 신동수 연구원은 “만기가 긴 MBS 인수는 은행권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현재 은행권의 보유채권 가중평균만기는 0.65년에 불과하나 과거 안심전환 대출 MBS는 모두 3년 이상 물로 발행됐다”라고 설명 했다. 이어 “ 더구나 은행권의 MBS 의무보유기간은 협의 중이나 대략 3~5년 내외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만기가 긴 채권 보유 시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성은 높아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車·반도체·철강 점유율 추락…해외서 밀리는 한국 주력산업 [韓 제조업이 무너진다①]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토트넘, PL 풀럼전서 0-2 패배…손흥민 평점은?
  • 증권가 "상법 개정안, 계열사 많은 'SK·삼성' 소송 위험 높여"
  • 서울보증보험, 코스피 데뷔 첫날 선방…IPO 시장 훈풍 기대감
  • 비트코인, 다시 약세 국면 진입하나…8만2000달러 선으로 하락 [Bit코인]
  • 中 무비자 시행에 넉 달간 여행객 급증…‘제2의 오사카’ 자리 꿰차나
  • '굿데이', 결국 입장 냈다…"김수현 출연분 최대한 편집" [전문]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11:1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04,000
    • -0.97%
    • 이더리움
    • 2,800,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495,900
    • +0.16%
    • 리플
    • 3,436
    • -1.32%
    • 솔라나
    • 188,100
    • -4.9%
    • 에이다
    • 1,047
    • -3.06%
    • 이오스
    • 716
    • -2.72%
    • 트론
    • 313
    • -3.1%
    • 스텔라루멘
    • 397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780
    • +0.02%
    • 체인링크
    • 20,060
    • -1.28%
    • 샌드박스
    • 411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