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등 16개 대학 정시 비중 40%로 확대한다

입력 2019-11-28 11:08 수정 2019-11-28 15: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2년부터 자소서 단계적 축소, 교사추천서 폐지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현재 중학교 3학년생이 치르게 될 2023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정시 선발 비중이 높아진다.

또 불공정 논란을 빚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평가 기준 등도 대학이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해 입시 투명성을 높인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학종과 논술위주전형 모집인원이 전체의 45% 이상으로 높은 서울 소재 16개 대학에 대해 2023학년도까지 수능 위주 정시 전형을 4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해당 대학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서울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이다. 2021학년도 이들 대학의 정시 선발 인원은 1만4787명으로 전체 모집인원(5만1013명)의 29% 수준이다. 대학별로 정시 비중을 40%로 높이면 16개 대학 정시 선발 인원은 총 2만4012명으로 5625명 늘어난다.

교육부는 입학사정관 인건비와 입학전형 운영ㆍ연구비 등을 지원하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등 교육 재정지원과 연계해 수능 비중 확대를 유도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정시 수능위주전형을 2023학년도까지 40%로 상향 조정하되, 대학 여건을 고려해 2022학년도까지 앞당겨 달성하겠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중장기적으로는 대입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 현재 초등학교 4학년이 대학 입시를 보는 2028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 등 신교육정책을 반영한 새로운 수능체계를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다.

2025년 모든 고교에서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는 것과 발맞춰 수능도 손을 보는 것이다.

학생의 능력이나 성취가 아닌 부모 배경, 사교육 등 외부 요인이 대입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도록 대입 전형자료의 공정성도 강화한다.

현재 중학교 2학년이 대학시험을 보는 2024학년(현재 중학교 2학년생)도부터는 정규교육과정 외 수상경력, 개인봉사 활동실적, 자율동아리, 독서 등의 활동을 적는 비교과 활동은 대입에 반영되지 않는다. 또 같은 해 학생부 자기소개서도 폐지된다. 자소서는 2022~2023학년도 대입을 치르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생과 중학교 3학년생부터 기재항목이 조금씩 줄어들고, 2024학년부터 완전히 사라진다.

교사추천서는 지난해 발표된 것처럼 2022학년도부터 없어진다. 불공정 논란을 불러일으킨 학생부종합전형의 투명성도 높인다.

유 부총리는 “이번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은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강화, 대입전형의 합리적 비율 조정, 사회통합전형 신설 등 세 가지가 핵심”이라며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사교육 의존도가 높은 전형을 대폭 축소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방안은 이미 합의된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을 보완한 것”이라며 “고교학점제에 부합하는 2028학년도 미래형 대입제도가 마련되기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4: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800,000
    • +0.6%
    • 이더리움
    • 5,291,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715,000
    • +3.47%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8,300
    • -0.29%
    • 에이다
    • 641
    • +0.79%
    • 이오스
    • 1,103
    • +0.27%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8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200
    • +2.97%
    • 체인링크
    • 24,270
    • +0.5%
    • 샌드박스
    • 655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