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메카코리아, 중국 신규전략에 대한 확실 필요 ‘목표가↓’-IBK투자증권

입력 2019-05-15 08: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IBK투자증권이 15일 코스메카코리아에 대해 중국시장 신규 전략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고 평가를 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4만 원에서 3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안지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메카코리아의 1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51억 원, 24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충족했다”면서 “부문별 매출액은 한국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한 521억 원, 중국법인은 23.8% 줄어든 63억 원, 미국법인은 신규로 306억 원을 시현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로드샵 고객사 주문 감소에도 온라인과 홈쇼핑을 중심으로 매출애 회복했지만 중국의 경우 오프라인 중심의 기존 고객사의 주문이 급감했고 이커머스에 고객사에 대한 구체적 대응은 2분기 말에 예정된 것이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안 연구원은 중국 성장성 정체는 급변하는 고객사 트렌드에 대한 이해 부족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올해 1분기 중국 매출액(63억 원)은 과거 2017년 1분기 이후 최저 매출 규모”라면서 “중국 법인의 최근 매출 감소는 지역별 비수기, 성수기와 로컬 및 글로벌 고객사 니즈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안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중국 화장품 산업 트렌드에 근거할 때 상해, 항주, 소주를 중심으로 동부 지역은 글로벌 대표 럭셔리 기업들의 기초 제품들이 1분기 비수기 시즌을 장악했다. 반면 남부(광저우, 선전) 지역은 신흥 로컬 브랜드들이 비수기에도 신제품 출시가 이어졌다.

그는 “2019년 코스메카코리아는 미국 법인을 통해 신규 성장을 구체화할 것으로 판단되어 매수의 견을 유지한다”면서도 “2분기 국내 베이스 부담과 중국의 신규 전략에 대한 확신이 약한 점에 근거하여 2019년 수익 추정치를 일부 하향 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전략이 중요한 이유는 코스메카코리아가 기업공개(IPO) 이후 300억 원의 투자가 집행된 사업 모델 상의 핵심 지역으로 신공장을 통한 생산 효율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개선 이 시급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음주운전 걸리면 일단 도망쳐라?"…결국 '김호중 방지법'까지 등장 [이슈크래커]
  • 제주 북부에 호우경보…시간당 최고 50㎜ 장맛비에 도로 등 곳곳 침수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손정의 ‘AI 대규모 투자’ 시사…日, AI 패권 위해 脫네이버 가속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672,000
    • +0.02%
    • 이더리움
    • 4,970,000
    • -0.66%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0.45%
    • 리플
    • 697
    • +0.14%
    • 솔라나
    • 189,100
    • -2.27%
    • 에이다
    • 541
    • -0.37%
    • 이오스
    • 807
    • +0.25%
    • 트론
    • 166
    • +0.61%
    • 스텔라루멘
    • 133
    • +1.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00
    • +0.24%
    • 체인링크
    • 20,280
    • +0.6%
    • 샌드박스
    • 466
    • +2.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