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승용차 개소세 인하, 내수 경기 활성화 효과 커"

입력 2018-07-0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승용차 신규 판매 1만8000대↑..소비자 후생 46조원 증가

▲미국으로의 수출을 앞두고 있는 한국산 자동차.(연합뉴스)
▲미국으로의 수출을 앞두고 있는 한국산 자동차.(연합뉴스)

박근혜 정부 때 시행했던 승용차 개별소비세(이하 개소세) 인하가 내수 경기 활성화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다 줬다는 분석이 나왔다.

개소세 인하 덕분에 신규 자동차 판매가 2만대 가까이 증가했고, 이에 따른 소비자의 후생은 46조 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구원이 1일 발표한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정책의 경제적 효과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가 2015년 8~12월 메르스 및 세월호 사태 등으로 침체된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승용차 개소세 인하(5%-3.5%)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승용차 신규 판매는 개소세 인하 시행 전 대비 1만8000여 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15년 전체 내수 판매량은 전년대비 8.6% 증가한 158만9393대를 기록했다. 개소세 인하 종료 이후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하자 정부는 2016년 2월부터 6월까지 개소세 인하를 연장했다.

전체 소비판매 시장에서 승용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0.1%에 해당된다. 그만큼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가 전체 소비판매를 끌어 올릴 수 있는 요인이 되는 셈이다.

2015년 8월 말부터 2016년 6월까지 개소세 인하로 인해 정부의 조세수입은 약 25억 원 감소했으나, 판매가격 인하 효과로 전체 소비자의 후생은 46조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산업연구원)
(자료=산업연구원)

또 신규 승용차 판매 증가 덕분에 기업의 이윤은 594억 원 늘어나 정부의 조세수입, 소비자 후생, 기업의 이윤 변화분을 모두 합한 전체 사회후생은 약 46조8000억 원 증가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보고서는 "승용차 개소세 인하 정책이 신규 승용차 소비증진과 내수 경기 활성화라는 정부의 정책목표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다만 개소세 인하는 차종에 무관하게 적용해 가격이 비싼 대형차와 수입차 소비자들에게 더 높은 세금감면 혜택을 주는 역진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 정부가 개소세 인하를 추진하게 된다면 가격, 연비, CO2(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대 팬이 물병 투척…급소 맞은 기성용
  • '프로야구 우천취소' 더블헤더 경기, 두 번 다 관람 가능?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BTS 정국부터 OJ 심슨까지…“억” 소리 나는 車경매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911,000
    • -0.02%
    • 이더리움
    • 4,110,000
    • -0.41%
    • 비트코인 캐시
    • 608,500
    • -0.08%
    • 리플
    • 714
    • +0.42%
    • 솔라나
    • 205,600
    • -0.72%
    • 에이다
    • 619
    • -2.37%
    • 이오스
    • 1,101
    • -1.96%
    • 트론
    • 179
    • +0%
    • 스텔라루멘
    • 15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200
    • -0.63%
    • 체인링크
    • 18,850
    • -2.78%
    • 샌드박스
    • 594
    • -1.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