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더 받아 덜 줬다'…보험사, 5조원 남긴 '암보험' 장사

입력 2018-05-31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癌환자, 왜 피켓을 들었나③] 5년새 수입보험료 78% 증가 약관 핑계 보험금 지급 안 해 “자기 배불리기” 비난 목소리

보험회사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암(癌)보험 상품을 통해 거둬들인 수익이 5조 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비슷한 규모로 막대한 수익을 얻으면서도 정작 소비자에게 암보험금을 지급할 때는 약관을 핑계로 '인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들이 암보험을 통해 1년간 거둬들인 수익은 7조62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은 2조5500억 원으로 암보험 상품을 통해 5조 원이 넘는 이득을 본 셈이다.

우선 2013년 암보험금으로 거둔 이익이 2조3900억 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4년 만에 두 배 이상 불어난 규모다. 2014년 3조3500억 원, 2015년 3조9000억 원, 2016년 4조2400억 원 등 매년 증가세를 타고 있다. 때문에 같은 기간 수입보험료의 성장세가 지급보험금의 증가폭을 크게 웃도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2013년부터 2017년 사이 지급보험금이 35.1% 늘어난 데 비해 수입보험료 증가폭은 77.9%로 두 배를 넘겼다.

보험사의 영업수지를 결정하는 대표적 요인인 손해율도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손해율이 100%면 보험사는 본전이지만 100% 이상 올라가면 손해다. 손해율이 100%를 넘는다는 것은 받은 보험료보다 나간 보험금이 많아 보험사가 손해를 입었다는 뜻이다. 결국 이 수치가 낮을수록 보험사의 주머니는 두둑해지는 구조다.

지난해 지급보험금 대비 수입보험료의 비율을 단순계산하면 33.5%로 나타났다. 예컨대 1년간 보험사가 100만 원의 보험료를 받았다면 이중 33만5000원만 보험금으로 지급했다는 의미다. 손해율은 2013년 44.1%, 2014년 36.9%, 2015년 34.3%, 2016년 35.6% 등 점차 줄어들고 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공식적인 손해율에는 여러 변수들이 포함되지만 단순히 보험금을 보험료로 나눠 산출한 값도 러프하게는 손해율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보험사들은 매년 암보험을 통해 이득을 내고 있지만, ‘직접적인 암 치료’라는 약관을 근거로 요양병원 등 일부 치료에 대해서는 보험급 지급을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보험사들이 보험업의 기본 원칙인 ‘수지상등’에 맞지 않는 운영을 하며 자기 배불리기에 급급하다는 비판이 나온다.보험사에 대응하는 암환우 모임 관계자는 “모호한 약관을 핑계로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은 가입자들에게 보험금 지급을 회피하면서도 정작 보험사들은 이들을 통해 받은 보험료로 몸집을 불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80,000
    • -0.33%
    • 이더리움
    • 5,024,000
    • +2.61%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09%
    • 리플
    • 695
    • +0.43%
    • 솔라나
    • 191,000
    • -0.93%
    • 에이다
    • 543
    • +0.56%
    • 이오스
    • 804
    • +2.55%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050
    • +1.97%
    • 체인링크
    • 20,210
    • +3.43%
    • 샌드박스
    • 456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