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김기식 3일 첫 회동…감독기구 위상 찾을까

입력 2018-04-03 13: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종구 금융위원장과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3일 오후 처음 만난다. 김 원장은 전날 취임사에서 금융감독 체계에 대한 소신을 드러낸 상황에서 향후 현안에서 독립적인 감독권을 주장할지 주목된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께 김 원장은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 금융위원회를 방문한다. 김 원장은 전날 금감원에서 취임식을 하고 이날 오전까지 현안 보고를 이어받았다. 취임 직후 노조를 방문해 각오를 전하기도 했다.

김 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치·정책적 고려 때문에 금융감독 원칙이 왜곡돼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금융정책기관과 감독기관의 역할은 분명히 다르다고도 못 박았다. 이날 오전 열린 내부 임원회의에서는 금감원의 정체성 정립을 강조하면서 감독기구로서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당부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시절 양 기관이 ‘혼연일체’를 강조하면서 금감원의 위상이 크게 떨어진 점을 염두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실제 금융위와의 협력강화, 그림자규제 철폐 등의 과정에서 금감원 내 실무자들은 즉각적으로 조사·검사에 착수하지 못하고 절차적으로 금융위의 승인 또는 조율을 거쳐야 하는 등의 불편을 호소해 왔다.

이처럼 김 원장이 금감원의 위상 되찾기를 선언한 상황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과의 첫 회동 분위기에 관심이 집중된다. 최 위원장과 김 원장은 2014년 일명 ‘KB사태’ 시절 국정감사에서 금감원 수석부원장(최종구)과 정무위 국회의원(김기식) 신분으로 만나 날선 대화를 주고받은 바 있다.

당시 김 원장은 최 위원장을 비롯해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 정찬우 전 금융위 부위원장, 최수현 전 금감원장 등 금융당국 고위 관료를 향해 “무능한 경제관료가 혼란을 조장한 모피아 역사의 오점이자 수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금융감독 원칙이 정치·정책적 고려에 의해 훼손돼선 안된다는 소신은 향후 금융당국 현안에서도 정통 관료인 최 위원장과 시민단체·국회의원 출신 김 원장이 부딪히는 지점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까지 금융위는 K뱅크 인허가, 삼성 차명계좌 조사, 금융그룹통합감독 등의 이슈에서 특혜, 편파해석, 온건주의라는 비판들을 받아왔다.

금융위 내에서 조사업무를 수행하는 자본시장조사단과 금감원 자본시장조사국 등 조사·검사업무가 중복되는 영역에 대한 조율도 순차적으로 이뤄질지 주목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한화-KT전 '끝내기 벤치클리어링', 도대체 무슨 일?…4년 전 악연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237,000
    • +0.2%
    • 이더리움
    • 5,338,000
    • +2.01%
    • 비트코인 캐시
    • 691,000
    • +3.68%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9,200
    • +0.04%
    • 에이다
    • 636
    • -0.31%
    • 이오스
    • 1,100
    • -1.17%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750
    • +0.29%
    • 체인링크
    • 24,150
    • -2.54%
    • 샌드박스
    • 645
    • +0.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