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어 달쏭사] 비색(翡色)

입력 2018-01-22 10: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려청자’를 글자대로 풀이하면 ‘고려시대에 제작한 푸른 사기 그릇’이다. 그런데 고려청자의 색깔을 거론할 때는 ‘푸른색’ 대신 으레 ‘비색(翡色)’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비색(翡色)’이란 과연 어떤 색일까?

 ‘翡’는 ‘물총새 비’ 혹은 ‘비취 비’라고 훈독한다. 날개 혹은 날개가 있는 새를 통칭하는 글자인 ‘羽(깃털 우)’에서 뜻을 따고 ‘非(아닐 비)’에서 발음을 따서 두 글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물총새의 등 깃털 색은 오묘한 푸른빛이다. 아름답다. 옥 가운데도 그와 흡사한 색을 띤 것이 있다. 바로 비취이다.

 그래서 ‘翡’는 ‘비취 비’라고도 훈독한다. 고려청자가 비색을 띠고 있다는 말은 바로 물총새의 깃털이나 비취의 색을 띠고 있다는 뜻이다. 매우 아름다운 색이라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서 고심 끝에 찾아낸 글자라는 생각이 든다.

 고려청자의 색깔을 처음으로 ‘翡色’이라는 말로 표현한 사람은 서긍(徐兢)이다. 서긍은 중국 송나라 때 문신으로 1123년(고려 인종 1년)에 사신으로 고려에 들어와 1개월간 머물렀는데 귀국 후,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나라에 소개하였다. 서긍이 이 ‘고려도경’에서 고려청자의 색깔을 처음으로 ‘翡色’이라고 표현했다.

 당시 송나라에도 청자가 흔하게 있었으니 중국의 청자처럼 그냥 청색이라고 했어도 될 텐데 고려청자의 색깔에 얼마나 경도되었으면 특별히 “고려인들은 그 색을 ‘翡色’이라고 한다”고 전했을까? 그런 청자를 일본이 조선을 병탄한 후 수도 없이 약탈해 갔다. 그 청자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반환해 올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기가 쉽지 않다면 일본에 놓아둔 채 우리가 일본보다 훨씬 깊이 연구를 해야 한다.

 문화유산은 어디에 있느냐보다 누가 더 깊이 연구했느냐에 따라 더 많이 연구한 사람이 주인 행세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74,000
    • -0.41%
    • 이더리움
    • 5,028,000
    • +2.36%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0.09%
    • 리플
    • 697
    • +0.58%
    • 솔라나
    • 191,300
    • -1.24%
    • 에이다
    • 543
    • +0.93%
    • 이오스
    • 807
    • +3.0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1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50
    • +2.14%
    • 체인링크
    • 20,270
    • +3.63%
    • 샌드박스
    • 459
    • +4.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