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자력시스템 개발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정책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 원전 선진국이 '안전'을 위해 추진 중인 원전의 소형화ㆍ모듈화 정책이 대안으로 떠오를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2일 "지난 2006년부터 주요국과 함께 착수한 '제4세대원자력시스템 국제포럼(이하 GIF)'의 공동연구 성과를 진단하고 향후 우리 정부가 추진해야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4세대원자력시스템(Gen-IV, Generation IV Nuclear Energy System)은 경제성과 안전성, 지속성, 핵비확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 중인 차세대 미래원자력시스템이다.
GIF(Generation-IV International Forum)는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창설한 국제포럼이다. 2001년 미국이 주요 원자력 국가들과 미래 원자력시스템 연구개발을 위해 발족했다. 우리나라는 창설회원국으로 2001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성과 포럼에서는 2006년부터 우리나라가 참여하고 있는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성과를 진단하고, 향후 방안에 대해 원자력 관련 전문가(산ㆍ학ㆍ연)들이 한 자리에 모여 논의한다. 행사는 3일 오후 2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 국제적 관심으로 떠올른 원전의 소형화ㆍ모듈화 전략이 정부의 원전 정책에 어느 정도 반영될지 주목된다.
지하 매립설치가 가능한 소형 모듈형 원전은 지진과 해일 등 자연재해는 물론 '테러'로부터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 대형 방식보다 안전성이 수백배 높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이 방식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앞서 미국은 이미 오바마 행정부 시절, 소형 원전을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지정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17개 주(州)에 소형 원전 사업 거점을 만들어 지원하고 있다. 워싱턴 주 상원은 소형 원전 지원법을 제정하기도 했다.
중국은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 시장까지 장악하는 원자력 대국이 되기 위해 소형 원전에 7000억 원의 초기 투자와 더불어 기술 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영국도 국가적인 최우선 프로젝트로 소형 원전을 개발 중이고 러시아 역시 올해 100MWe급 모듈형 원전 건설에 착수하게 된다.
미래부 배태민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 GIF 국제공동연구 참여 성과 점검을 통해 그간 GIF 참여 성과를 되짚어 보고, 향후 참여 방안을 모색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며 “특히 GIF 회원국간 연구 수행 결과를 공유ㆍ검증하는 국제공동연구를 효과적으로 잘 활용한다면, 우리나라 미래원자력시스템 연구 개발 효율성 제고(提高)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고 전망했다.